-
-
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을까? - 최제우 vs 서헌순 ㅣ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46
성주현 지음, 조환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5월
평점 :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 사이의 시기는 우리 역사 중에서도 여러가지 혁명적인
사건이 많아 사회시간에 힘들게 외우곤 했는데 그 중에서도 동학농민 운동은
우리 나라 최초의 농민 반란 사건이 아닐까 한다.
이 책은 그런 동학의 제 1대 교주인 최제우와 정부의 명을 받고 그를 잡아들인
서헌순이 동학농민운동과 동학을 두고 재판을 벌이는 모습을 다루고 있는데
책을 읽기 전엔 솔직히 나는 최제우가 동학 1대 교주이고 동학은 모든 사람을
평등하다고 한 학문이라는 정도 밖에 아는 것이 없어 왜 동학과 농민운동이
역사석으로 중요한지 알지 못했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나니 그 중요성과
최제우의 역활이 어던 의미를 갖게 되는지 알게 되었다.
내용 중 가장 인상깊은 것은 원고측이 말한 동학의 중심 생각, 즉 사상이었는데
시천주의 평등사상, 후천개벽의 혁세 사상, 척왜양창의 민족 주체사상
유우상자의 대동사상은 백성을 위하고 나라를 위하는 최제우의 마음이 잘 반영
된것 같으며 지금의 우리 사회에서도 꼭 필요한 사상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훌륭해 보였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화가 났다. 단지 그 시대 사상과 다르다는 이유로 핍박받고
무시를 당하다니.....아마 최제우가 지금 시대에 태어났다면 그의 사상을 마음껏
펼치며 더 대단한 일을 해냈을것 같았다.
이 책은 동학 농민운동과 동학에 대해 무척 자세하게 들려주기에 동학이 왜 박해를
받았는지 , 그럼에도 발전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인지 등을 알게 해주었고
내용이 무척 재미있게 느껴졌다. 그리고 주문에서와 같이 나도 피고에게 손해배상
청구를 선고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