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부동산 부의 역사 - 한반도 부의 흐름을 한눈에 살피는 부동산 입지 변천사
이상우.유성운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한반도 부의 흐름을 한 눈에 살피는 부동산 입지 변천사] 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다.

[부동산 보는 안목을 키우는 키워드] 라는 목차로 5가지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1부> 교육환경

고려, 조선시대에도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

시대 배경만 다를 뿐 사립학교, 일타 강사가 있었고, 인적 네트워크를 만들어주기 위해 부모들은 온 힘을 다해 좋은 학교, 좋은 학군으로 아이를 보냈다.


의외로 알게 된 사실이 조용한 시골 마을로만 알고 있던 경북 선산이 조선 전반기의 교육의 황금기를 누렸다는 것이다.

또 하나 재미있는 사실은 조선은 당파가 심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당파보다 더 중요한 경계를 작가는 한양과 지방이라는 것으로 표현했다. 이름하여 "먼 친척보다 이웃사촌이 낫다"

예를 들어 노론 산림의 거두인 김장생의 후손 김상현이 남인 정약용에게 배웠고, 노론 벽파인 김정희는 시파와 어울린 박제가 밑에서 수학했다. 그러니까 비록 노론에 속해 있더라도 지방의 노론 인사보다는 한양 출신의 남인과 '같은 세계에 사는 사람' 이라는 동질감을 느꼈다는 이야기다.


2부> 직주근접

조선시대에는 궁궐이 최고의 직장이다. 따라서 궁궐을 기점으로 당시의 집값이 결정되었다.

궁궐과 멀어질수록 집값이 떨어지는..

종로는 조선의 상권이 있던 곳이고, 현재의 명동은 조선시대 남촌의 이름으로 있었다.

이순신, 원균이 같은 동네 남촌 출신이라니..

권력도 돈도 없던 남촌의 변신

그 남촌이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의 주거지로 낙점되면서 변하기 시작한다.

현재의 명동, 현재도 일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장소인 명동이 그 당시의 일본인들의 주거지였구나..

북촌(종로) 는 조선인 VS 남촌(명동) 은 일본인

당시 서울의 인구 중 25% 이상이 일본인 이었다고 하니, 명동은 가히 서울에 만들어진 작은 도쿄였던 셈이다.

조선총독부의 인프라 투자가 이 곳에만 집중되니 일본인이 사는 곳은 전기가 남아돌아 밤에도 술집이나 영화관이 대낮처럼 밝은 반면 조선의 상권인 종로는 어두컴컴했다.


기업들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지역을 선호한다.


공공의 힘이 닿는 기관들은 전략적으로 지방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경북 혁신도시 김천, 경남 혁신도시 진주

이렇게 지방으로 옮겨간 기관들은 그 지역의 소비문화를 변화시키면서 최종적으로 그 지역의 부동산 값을 상승시킨다.

3부> 교통 호재


도로만 따라가도 투자 어렵지 않아요.

고속철도 : 통근 범위의 개념을 바꾸다.

4부> 자연환경


도시 개발에서 디폴트값이 된 호수공원

중앙공원과 호수공원은 1, 2기 신도시의 랜드마크로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다.

5부> 도시계획

서울에 집 사는 건 언제나 어려웠다.

'아빠 찬스' 없이는 살 수 없는 한양 집

100여 년 동안 10배 뛴 서울 집값

한양 집값을 잡는 데 가장 적극적인 조선 왕은 영조였다. 그는 한양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이 시세차익을 노린 다주택 보유에 있다고 봤다. 그는 관직자는 일반 서민들의 집을 구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실상 실거주 외에는 집을 가질 수 없도록 했다.

조선의 야심찬 신도시 4군 6진의 흥망

정조의 업그레이드 신도시 계획, 화성

공장지대의 놀라운 변신


이 책은 전반적으로 30대, 40대들이나 역사,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분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재미있다. 작가가 옆에서 시대 흐름 이야기를 해 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퇴사가 두렵지 않은 경준녀입니다 - 다양한 경험으로 준비된 미래를 만드는 워킹맘의 새로운 도전!
임선영 지음 / 잇콘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단녀.. 매번 듣던 부정적인 단어!!
그러나, 지은이 썸머님은 ˝경준녀˝라는 희망의 단어를 만들어 주셨네요.
지은이가 얼마나 치열하게 살았을지가 느껴지는 책이었습니다.
자기 시간을 내기 위해 새벽에 일어나서 인풋 시간을 늘리고, 경제적 자유와 사회적 자유를 위한 지은이의 노력!! 존경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