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건널목의 유령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박춘상 옮김 / 황금가지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에게 혼 따위가 없다면, 이 세상에 표류 하는 영혼 따위를 믿지 않는다면, 고인이 묻힌 표지나 영정 앞에서 고개를 숙일 때마다 대체 누구에게 말을 거는 것인가.'

-45


여성 월간지를 발행하는 출판사에 유령을 봤다는 제보가 들어온다. 주인공 마쓰다는 시모키타자와로 가서 열차 건널목에 출현한다는 유령에 대해 조사를 시작한다제보자를 취재하고 돌아온 날 새벽, 마쓰다에게 기이한 전화가 걸려 온다.


마쓰다는 엉겁결에 수화기를 내려놨다. 목덜미에 난 털이 꼿꼿이 솟았다. 단말마의 비명과도 같았던 그 목소리는 연기로 낼 수 있을 만한 음성이 아니었다. 실제로 죽음이 임박한 인간만이 내뱉을 수 있는 소리였다.’-73

 

마쓰다는 아내가 죽자 다니던 신문사도 그만둘 만큼 상실감에 빠져있다. 심령 취재를 마뜩찮아 하면서도 사람들의 말을 진지하게 들어주고 신중하게 반응한다. 설명할 수 없는 무언가가 찍힌 영상, 급정거하는 열차, 누군가를 보고 경악하는 사람들. 끔찍한 신음이 들려오는 전화 등 어떤 논리로도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 마쓰다의 행보를 통해 인과(因果)를 가지는 과정이 특히 흥미롭다. 피해자는 그날의 비극이 반복 재생되듯 끝나지 않고, 그 고통이 결국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이 무섭고 섬찟하게 느껴졌다. 현실감이 있는 공포랄까. 작가의 작품은 이 책이 처음이라 전작들을 찾아보고 싶었다.

피해자의 흔적을 찾아다니며 맞닥뜨리는 부조리함에 분노하고 때로는 허탈해 하면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그런 것은 집요하다기보다 용기나 인간애에 가까워 보인다. 가볍지 않은 이야기, 적지 않은 분량인데도 잘 읽힌다. 담백하고 건조한 문장에 가까운데 읽는 내내 다음 장이 궁금해졌다. 그 힘으로 마지막 장까지 쉼 없이 달릴 수 있다.

 

정상적인 판단력과 합리적인 사고로 인지되는 세계만이 현실이라면, 비합리적인 관념으로만 감지되는 세계는 없는 것인가?’ -121

 (참고. 책을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사람에게 혼 따위가 없다면, 이 세상에 표류 하는 영혼 따위를 믿지 않는다면, 고인이 묻힌 표지나 영정 앞에서 고개를 숙일 때마다 대체 누구에게 말을 거는 것인가.‘ - P45

‘정상적인 판단력과 합리적인 사고로 인지되는 세계만이 현실이라면, 비합리적인 관념으로만 감지되는 세계는 없는 것인가?’ - P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흘간의 낯선 바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56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은 꿈 같으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과가 쿵! - 0~3세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14
다다 히로시 글 그림 / 보림 / 199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곧 성인이 되는 큰 아이의 최애책! 읽는 내내 얼굴에서 미소가 떠나질 않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의 삶으로 그림책을 읽다
김진향 외 지음 / 생애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작가들과 비슷한 연령대라 그런지 읽으면서 내 얘기다 싶은 것들이 많았다. 어쩔 수 없이 내려놓고 비우려 애쓰다 보면 헛헛한데 그 마음을 알아주고 위로해주는 그림책과 이야기들이 가득 담겨있다. 주제를 나눠놓긴 했지만 생각날때 마다 아무데나 펼쳐 읽어도 너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운하시곡
하지은 외 지음 / 황금가지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집을 여는 표제작 <야운하시곡>의 분위기는 무겁고 진중하다. 하늘 아래 적수가 없다는 사혈공에게는 아이가 있다. 깊은 병에 이르러 짧은 생을 마감한, 가엾은 휴를 살릴 방도는 은원에 얽혀 결국 무용지물이 된다. 돌아온 사혈공에게 늑대가 휴의 무덤을 찾아주는 장면이 오래 남는다.
찌질한 사내의 우유부단함이 낳은 결과는 <호식총을 찾아 우니>에서 볼 수 있다. 호랑이에게 먹힌 사람들의 무덤인 호식총을 망가뜨린 수찬은 자신이 데리고 도망친 아이 난아와 닮은 아이를 보고 따라간다.자신을 해하려던 청년이 창귀라는 것을 듣고 죽은 아비와 만났을까 염려해주는 마음이 애잔하다.
<로부전>은 7편의 단편 중 가장 밝은 분위기의 작품이다. 욕하는 임금님 떄문에 절로 웃음이 터져나온다. 약현의 글 '로부전'을 두고 임금과 벌이는 언쟁이 아주 좋다. 곤궁한 삶을 잠시 잊고 위로가 될 수 있는 잡문을 쓴다는 약현의 말이 특히 와닿는다. 이 책에 담긴 7편의 글이 바로 그렇다. 양귀비가 나오는 <다시 쓰는 장한가>도 막힘없이 읽힌다. 개인의 힘으로 벗어날 수 없는 비극에 휘말린 여인들의 이야기다. 이어지는 <서왕>는 인간의 욕망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든다. 제자리 걸음 같은 느낌의 문체가 묘한 느낌을 준다.
마지막 작품인 <은혜>는 옛이야기 여우누이를 가져와 색다르게 풀어냈다. 익숙한 이야기라 읽는 재미가 가장 좋았다. 짐승보다 못한 사람, 사람보다 나은 짐승은 현실에도 얼마든지 존재한다. 삶을 넘어서는 드라마나 영화나 소설이 드문 이유다.
7편의 이야기를 읽고나니 오랜만에 솜씨 좋은 백반집을 알아가는 기분이다.  

(황금가지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