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가 좌충우돌 ㅣ 돌고 도는 세상 6
오주영 지음, 심보영 그림, 정관영 감수 / 상상의집 / 2018년 1월
평점 :
돌고도는세상 6 / 지구편
지구가 좌충우돌
글 오주영 / 그림 심보영 / 감수 정관영(서울과학고등학교 교사)
상상의집


좌충우돌지구 생각만해도 안쓰러운 것 같은데요
인간 때문에 지구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결과는 또 우리 인간들이 받고 있는 것 같은데요
이런 악순환을 막기위해서라도 지구가 좌충우돌을 읽으면서 좀 더 지구를 사랑하고 보호해야 될 것 같아요
우리 아이들, 아이들의 아이들이 살아갈 지구니 말이죠~

상상의 집 돌고도는 세상은 세상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폭을 넓혀 주는 시리즈입니다.
재미있고 우리아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통해서 호기심과 주제의식을 고취시킨 다음
지식이나 정보전달 페이지가 따로 마련이 되어 있어서 어린 유아들부터 고학녀까지 두루두루 읽을 수 있는 책인데요 벌써 여섯번째 이야기 지구에 관한 이야기까지 만나보게 되었답니다.

과학이라고 하면 쉽게 생각하기보다는 어려워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우리아이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인 지구이야기부터 시작하면 과학이 더 재미있어 지겠죠~
지구가 좌충우돌에서는 아이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지구가 어게 태어나게 되었는지부터 시작해서
우리아이들이 평소에 관심을 가졌던 다양한 지식이나 정보를 담고 있답니다.

평소에 아이들이 질문했던 내용들이 그대로 담겨있어서 책읽기하면서 엄마가 더 신나더라구요 ㅠㅠㅠ
엄마가 살짝 대답하기 힘들었던 내용들이 아주아주 시원하게 지식과 정보로 담겨있답니다

평소에 과학관이나 박물관은 자주 가게 되는데 자연사박물관은 거리의 제약때문에 자주는
갈 수 없었는데 책으로나마 자연사박물관을 만나게 되었답니다. ㅎㅎㅎ
재미있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내용이나 그림은 유아들도 충분히 호기심을 가질 수 있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부분이랍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이야기에 나오는 호기심 내용을 지식이나 정보페이지에서 아주아주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으니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부분만 쏙쏙쏙 아이들이 읽어봐도 너무나 좋은 활동이 될 것 같습니다.


3학년 과학에서 역암, 사암, 이암까지 배웠었는데
학년이 올라가면 석영, 장석, 흑운모 등도 배우게 되겠죠~~
아이들이 미리미리 용어라도 익혀두면 전혀 어렵지 않게 과학을 접할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퇴적이 뭔지, 사암이 뭔지, 지층이 왜 생기는지 처음에는 많이 어려워 했었는데
학교에서 배웠던 내용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은근 복습까지 되는
책읽기랍니다.
아는 내용이라고 지식, 정보 페이지도 완전 신나게 읽는 딸램이랍니다.
단층, 습곡도 3학년 과학 시간에 배웠던 내용이랍니다.
식빵으로 실험까지 하면서 재미있게 배웠던 것 같더라구요 ㅎㅎ
좀 더 깊이 있게 습곡, 단층에 대해서 알아보고 아는척도 하고 완전 신나는 책읽기네요


자연사박물관으로 체험학습을 가게 된 석우는 전학온지 얼마되지 않아서 짝궁이 없답니다. ㅠㅠㅠ
특별한 돌멩이 우돌이와 친구가 된 석우는 우돌이와 함께 지구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최초의 생명체가 누구인지 알아보았답니다.

석기시대관에서는 돌도끼, 돌칼, 돌화살 등 돌로 만든 도구들을 살펴보면서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나 스마트 폰의 활용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답니다.
더 중요한 사실은 돌 속의 철, 구리, 알루미늄, 니켈 등을 뽑아서 컴퓨터와 스마트 폰을 만든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답니다.

지구를 내부구조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암석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과학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역사이야기까지 알아볼 수 있답니다.
옛날부터 광물이나 암석을 이용해 왔는데요 구석기시대에 사용한 찍개, 주먹도끼, 지르개 등부터
신석기 시대에는 광물이나 암석을 날카롭게 갈아서 조금 더 정교한 도구를 만들었습니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여러 형태로 가종해서 생활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