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전쟁 - 21세기의 진정한 부는 바로 자원이다!
류룬모 지음, 신기봉.썬앤미디어 옮김 / 생각수레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충격적이다. 선진국들이 이렇게 치밀하게 자원을 위한 암투를 펼쳐왔다는 것을 말이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자원들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는 자원들이 곧 미래의 전략적인 자원들인 것이다.

미국이 자국내 석유를 개발안하고 차후 석유가 모자르면 그 때 개발하여 팔겠다는 심보를 알고 있었는데...

석유뿐 아니라 희토류등 각종 자원들을 몰래 모아두고 있다는 점에 대해 얄밉다는 생각까지 든다.

우리나라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자원이 없는 이 조그만 나라의 자원은 바로 인재자원이라고 생각된다.

이스라엘처럼. 싱가포르처럼 우리나라도 인재자원이 풍족하다면 어느 선진국 못지 않게 자원전쟁에서 앞서갈 수 있을 것이다.

난 이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물자원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 까 싶다. 지구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물이지만 다 염수고

담수는 고작 0.5%에 불과하다. 그 가운데에서도 생활폐수, 공업폐수로 인한 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등으로 인하여

담수는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아프리카에서는 깨끗한 물을 찾아볼 수 없고 나일강유역은 물자원으로 인한 전쟁까지

일어나기도 한다니.. 가히 물이 얼마나 귀중한 것인지를 깨닫게 된다. 지구의 인구는 현재 70억명 1830년대만 해도 10억명이였던

것이 엄청난 속도로 늘어나 70억명이 넘어섰다. 식량이 남아돌리가 없다. 한정된 개간지에 그 많은 인구를 어떻게 먹여살린단 말인가

그런데도 우리주변을 보면 음식점이나 호텔등 음식쓰레기가 엄청나다.... 자원이 귀하다는 걸 모든 사람들이 깨닫고 조금씩 아껴쓰는 지혜가 필요하다.

내일이면 늦는다. 우리도 식량등을 조금씩 비축해나가야 한다. 중차대한 자원잰쟁을 우리나라도 대비해야할 것이다.

그래야만 일부 선진국의 독과점 자원쟁탈로 부터 벗어날 수 잇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