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이 행복해야 인간이 건강하다 - 가축사육, 공장과 농장 사이의 딜레마
박상표 지음 / 개마고원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충격적이다. 이 책을 첫부분부터 읽기 시작했을 때부터 내가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고기 다들 좋아한다. 삼겹살 우리나라 대표음식이다. 구수한 삼겹살에 소주문화는 직장인 회식의 필수코스다.

그만큼 많이 먹고 불고기를 좋아하기때문에 고기 소비량도 우리나라는 많은 편이다.

삼겹살에 소주라면... 치킨에 맥주도 안 빠진다. 치맥같은 경우에는 집에서들 많이 먹을 것이다.

추출하면 양념치킨을 사다 먹기도 하고 퇴근길엔 바베큐치킨도 사다 먹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닭이며, 돼지며.. 소들이 이 책을 읽고 나서 먹기가 거북스러워진 이유다.

특히 패스트푸드는 앞으로 먹지 않을 것이다. 대형 유통업체도 되도록 가지 않고 마을 슈퍼마켓이나

재래시장에 직접 가서 구매해야겠다. 그것이 축산업을 살리는 일이요.. 우리나라 농업을 살리는 일이다.

자급자족도 안 되는 우리나라에 그나마 쌀은 100% 자급자족이 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안도의 한숨을 쉬게 하지만

그 외의 곡물을 절대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한다. 옥수수등 유전자변이를 통한 것은 인체에 좋지도 않고

가축들이 먹는 사료도 사체로 만든 쓰레기로 소독절차도 대충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은 전에도 들어본 적이 있다.

난 갠적으로 개나 고양이도 사료를 먹여서는 안 된다고 본다. 소들이 풀을 먹어야지... 인공사료가 무슨 맛이 있겠는가....

사료는 절대다수를 수입에 의존한다고 하니 외국계 사료업체만 배불리게 하는 꼴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가축이 행복해야 인간이 건강하다는 말에 절대 공감하며 가축들도 소중한 생명체라는 점을 축산업을

하시는 분들도 아셨으면 좋겠다. 그리고 도축을 할 때에는 최대한 고통이 없게 확인하고 소독뿐 아니라 가축들에게 스트레스를

최소화해야할 것이다. 정부정책도 대기업에게 유리한 정책이 아닌 우리나라의 농업인구수를 늘리기 위해서라도 소영농업자들에게 지원금의 혜택을 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장형 축산업은 없어져야 한다. 공장형 축산업이 없어지기 위해선 나부터라도 고기를 먹는 걸 줄이고 적게 먹고 패스트푸드는 먹지 않겠다.

식중독이 왜 요즘들어 자주 발생되는 이유를 알 것 같다. 식중독이 남의 이야기가 아니고 나도 걸릴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낄 수 있었다.

동불복지 더 나아가 지구환경보호를 위해 공장형 축산업에 대한 대대적인 관리감시와 유통절차 그리고 국민들이 스스로 나서도록 생협이나 마을 재래시장을 적극 활용하여 이러한 폐해가 없어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