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는 우리에게 특정 방식의 읽기를훈련시키는데, 바로 오랜 시간 한 가지에 집중하는 선형적 방식의 읽기다. 아네는 화면을 통한 읽기가 이와는 다른 방식, 즉 정신없이 넘기면서 초점을 옮기는 방식의 읽기를 훈련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네의 연구는 사람들이 화면으로 글을 읽을 때 "대충 훑어보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우리는 정보를 채빨리 훑어서 필요한 내용을 뽑아내려 한다. 그러나 아네는 사람들이 이 행동을 오래 지속하면 "이러한 훑어보기가 번져 나가게 된다고 말했다. "점차 우리가 종이에 쓰인 글을 읽는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행동이 거의 디폴트 상태가 되는 거죠." 내가 프로빈스타운에 막 도착해 디킨스의 책을 읽으려고 할 때 겪은 경험이 바로 이것이었다. 나는 디킨스보다 먼저 달려 나가고 있었다. 디킨스의 책이 뉴스기사인 듯이 핵심 사실을 내놓으라고 다그치고 있었던 것이다.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도는 기분좋게 해주는 면이 있다. ~~~모든 차원에서 깊이를 희생하고 있다는 거다.
깊이는 시간을 요구한다.
깊이는 사색을 요구한다.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감‘
삶의 보편적인 흐름 한 가운데, 그러니까세상 사람들의 모든 이야기들 속에 그럴 수밖에 없는어떤 방식으로 펼쳐져 있는 것이다. P. 127
"마크톱" 기록된것. 되어지는.
자아의 신화. 연금술, 철학자의돌. 위대한 업.세계에는 어떤 정기가 흐르고 있다.
그정기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사물의 언어도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이 어느 한가지 일을 소망할 때, 천지간의 모든 것들은 우리가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뜻을 모은다.
p.1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거운 감정으로 공부하면, 신경 세포 사이의 회로 연결 가능성을 높여주어 새로운 신경 회로를 형성한다고 합니다. 반대로 실망, 절망에 빠져 있으면, 억제성 신경계를 활성화하여 공부에 도움이 안 된다고 하죠. 다시 말해 부정적인 사고는 회로의 흐름을방해하거나 억제하고, 긍정적인 사고는 억제성 신경 전달 물질의활성을 낮추고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은 높여줍니다. 아이의 공부 정서가 긍정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적당한 동기부여와함께 첫 단추를 잘 끼워보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