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희
박유리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가의 용인과 경찰의 협조 아래 대대적으로 감행된 전대미문의 유괴 사업이자 인권유린 사태." 박혜진 평론가의 추천사에서 한 문장을 가져왔다. 형제복지원 사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던 내가 주관적인 해석으로 그 사건을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은희>는 형제복지원 사건을 중심으로 등장인물들의 행적을 조용히 따라간다. 소설은 태어나자마자 폴란드에 입양되어 자란 '준'이 생모에 대한 연락을 받은 직후부터 시작된다. 죽은 생모에 대해 알고 있는 여자가 아우슈비츠로 갈 거란 한 남자의 연락이었다. 준은 생모가 강간을 당해 자신을 낳았으며, 형제복지원이라는 곳에서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결국 한국으로 오게 된다. 이야기는 준, 그리고 다른 주인공인 '미연'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미연은 형제복지원의 생존자다. 다행히 목숨을 잃지는 않았지만, 형제복지원에서의 기억들이 그림자처럼 미연의 삶에 드리워져 있다. 미연을 찾아간 준은 자신의 생모인 '은희'에 대해 알려 달라고 부탁한다. 이 책은 준과 미연, 은희, 형제복지원 사건이 잊히지 않게 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병호, 그리고 형제복지원 사건의 가해자들의 기억들을 우리에게 펼쳐 보인다.

어떤 이야기들은 너무나 잔혹하기 때문에, 나는 가끔 거기에서 눈을 돌리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은희>를 읽으면서도 그런 느낌이 들었다. 사람들이 밤마다 끌려가 감옥이나 다름없는 수용소에 갇혔다. 굶주리며 일을 하고 폭행을 당하고 죽어갔다. 그렇게 죽은 사람들이 513명이라고 한다. 은희 역시 형제복지원에서 폭행을 당하고 사망했다. 미연이 은희의 시신조차 찾지 못했다는 말을 하는 장면이 있다. <은희>는 소설이다. 하지만 분명 우리가 살아온 현실에서도 어떤 사람들이 그렇게 죽어갔다. 누군가는 사람이 사람에게 해선 안 되는 일을 저질렀다. 이름을 빼앗고 이어 삶을 빼앗았다. 삶을 빼앗긴 사람들은 대개 무덤조차 갖지 못했다. 원장은 제대로 된 처벌을 받지 않았다. 은희가 신부전증으로 죽었다고, 은희의 사인을 조작한 의사도 떵떵거리며 잘 살았다. 죽어간 사람들, 그리고 살아남았음에도 복지원에서 살았던 나날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과는 다르게. 위에 언급한 박혜진 평론가의 문장을 조금만 더 인용하고자 한다. 이 책의 띠지에 쓰인 문장이기도 하다. "<은희>는 우리에게 불행을 선사한다. 그러나 이 불행에 동참함으로써만 우리는 가까스로 30년 전과 다른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

<은희>는 읽으면서 즐겁거나 행복한 기분이 드는 책은 절대 아니다. 비극을 겪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려낼 뿐이다. 자세한 내용이나 결말에 대해서는 일부러 언급하지 않았다. 인물들이 걸어가는 길을 조금 뒤에서 따라가면서 읽는 게 가장 좋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며 한 번씩 긴 한숨을 쉬었다. 읽기 힘든 내용이 나올 때면 책을 잠시 덮어 두기도 했다. 그래도 결국 이 책을 끝까지 읽었고, 이 책을 읽은 걸 후회하지 않는다. 아니, 이 책을 읽을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어떤 책들은 우리가 절대 외면해서는 안 되는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은희>를 읽음으로써 하나의 이야기를 외면하지 않을 기회를 얻었다는 사실이 기쁘다. 이 책은 기억되지 못한 수많은 삶을 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