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글이 살아남는가 - 우치다 다쓰루의 혼을 담는 글쓰기 강의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 / 원더박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주한책 서평단

어떤글이 살아남는가

우치다 다쓰루의 혼을 담는 글쓰기 강의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

원더박스

 

먼저 서평단으로서 이책에 대한 느낌을 적어보자면 몇가지 모순점에 저항감을 느끼게하여

잘 읽어지지않는다생각했다.

그만큼 내용이 충실할수도 있다만 독자의 관점을 이해해야한다면서 이책을 읽는 독자에 대한 생각은 어느정도 했는지 되물어보고싶은 심정이었다.

 

전체 14강에 걸쳐 대학의 한학기강의내용을 그대로 서술한 것으로 보여 문자만으로는 표현하고자하는 내용을 그대로 간파하기에 버거웠다.

추상적인 이야기가 매우 빈번히 나오면서도 글쓰는 요령에 대하여 노하우를 알려주는 듯한 어감은 작가지망생들에게 약간의 혼란스러움을 일으킨다고 생각했다.

무엇을 위한 글쓰기인가 독자들이 좋아할만한 글을 써야하는가 잘 팔리는 글이 좋은 글인가

그러기위해서 혼이 담긴 글을 써야하는가??

베스트셀러작가가 쓰는 글이 좋은 글인가?? 이런 것을 생각해보게 만들었다.

강의자의 자유로운 관점에 의한 작가평가는 가능하지만 책으로서의 작가평가는 매우 위험한 것이다. 설명을 잘하는 작가와 아닌작가의 구분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이다.

 

일본의 한 대학에서 한 강의를 그대로 번역하여 마치 강의실에서 강의를 그대로 보고 있는듯한 느낌이다.하지만 독자에 대한 경의를 이야기하면서 문자들의 나열만으로 어떻게 그 강의를 제대로 이해할수있단 말인가! 가치관이나 문화관이 다른 한국에서는 강의 중간에 불쑥불쑥나오는 고유명사나 지명의 의미를 따라가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잘 읽어지지 않는 책이라고 하는 것이다. 서평하는 나자신도 일본생활을 오래하였지만 이책의 고유명사나 지명이 무슨말을 의미하려는지 바로 알기가 어려웠으니 한국의 독자에게는 더더욱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달하고자 하는 포인트는 명확하고도 틀린 말은 없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글쓰는 이의 목적은 일차로 자기자신을 위한 것이다.

꿈을 꾸기 위해서 매일 아침 나는 눈을 뜹니다.

지하실 밑에 있는 지하실

기본은 체력갖추기부터 여러 일반론적인 좋은 메시지에는 충분히 동감한다.

 

반면 작가의 말을 빌어 표현하자면 콘텐츠는 이해하기가 어렵지만 그 말하려는 뜻은 전해진다.이책이 그런 책아닌가싶다.

에크리튀르(어법의 우리)라는 좋은 의미를 논하지만 이책이야말로 일본적인 에크리튀를 느낄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싶다.

내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라고 한 자크라캉의 말을 인용한 또 다른 표현이 내가 이야기할 때 내 안에 이야기하는 것은 타자입니다.

타자만이 나를 객관하여 볼수있다는 것이고 글을 마무리함으로써 나자신과의 조우가 가능하다는 것 아니겠는가! 엄청난 엔돌핀이 나온다는 작자의 글쓰기예찬은 독자로부터 막연한 욕망을 꿈꾸게한다.

철학적인 소양이나 어렵지만 매우 와닿는 좋은 의미의 말들과 접하게 되어 기쁜마음이다.

전문서적을 한참 들여다봐야 볼수있는 것을 글쓰면서 이해하게된다면 이얼마나 큰 소득인가

클리셰, 끊임없는 불균형을 통한 언어, 자아의편취, 학문은 길없는 길로 들어가는 것이다 등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진도나가기 어려운 책이었지만 읽어보면 뿌듯한 책이다.

결코 이해할수 없는 나의 기억은 언어라는 것을 통한 나의 영혼을 들여다본다는 나만의 해석을 남기게 되었다. 정말 일본스타일의 내공이 전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글이 살아남는가 - 우치다 다쓰루의 혼을 담는 글쓰기 강의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 / 원더박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주한책 서평단

어떤글이 살아남는가

우치다 다쓰루의 혼을 담는 글쓰기 강의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

원더박스

 

먼저 서평단으로서 이책에 대한 느낌을 적어보자면 몇가지 모순점에 저항감을 느끼게하여

잘 읽어지지않는다생각했다.

그만큼 내용이 충실할수도 있다만 독자의 관점을 이해해야한다면서 이책을 읽는 독자에 대한 생각은 어느정도 했는지 되물어보고싶은 심정이었다.

 

전체 14강에 걸쳐 대학의 한학기강의내용을 그대로 서술한 것으로 보여 문자만으로는 표현하고자하는 내용을 그대로 간파하기에 버거웠다.

추상적인 이야기가 매우 빈번히 나오면서도 글쓰는 요령에 대하여 노하우를 알려주는 듯한 어감은 작가지망생들에게 약간의 혼란스러움을 일으킨다고 생각했다.

무엇을 위한 글쓰기인가 독자들이 좋아할만한 글을 써야하는가 잘 팔리는 글이 좋은 글인가

그러기위해서 혼이 담긴 글을 써야하는가??

베스트셀러작가가 쓰는 글이 좋은 글인가?? 이런 것을 생각해보게 만들었다.

강의자의 자유로운 관점에 의한 작가평가는 가능하지만 책으로서의 작가평가는 매우 위험한 것이다. 설명을 잘하는 작가와 아닌작가의 구분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이다.

 

일본의 한 대학에서 한 강의를 그대로 번역하여 마치 강의실에서 강의를 그대로 보고 있는듯한 느낌이다.하지만 독자에 대한 경의를 이야기하면서 문자들의 나열만으로 어떻게 그 강의를 제대로 이해할수있단 말인가! 가치관이나 문화관이 다른 한국에서는 강의 중간에 불쑥불쑥나오는 고유명사나 지명의 의미를 따라가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잘 읽어지지 않는 책이라고 하는 것이다. 서평하는 나자신도 일본생활을 오래하였지만 이책의 고유명사나 지명이 무슨말을 의미하려는지 바로 알기가 어려웠으니 한국의 독자에게는 더더욱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달하고자 하는 포인트는 명확하고도 틀린 말은 없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글쓰는 이의 목적은 일차로 자기자신을 위한 것이다.

꿈을 꾸기 위해서 매일 아침 나는 눈을 뜹니다.

지하실 밑에 있는 지하실

기본은 체력갖추기부터 여러 일반론적인 좋은 메시지에는 충분히 동감한다.

 

반면 작가의 말을 빌어 표현하자면 콘텐츠는 이해하기가 어렵지만 그 말하려는 뜻은 전해진다.이책이 그런 책아닌가싶다.

에크리튀르(어법의 우리)라는 좋은 의미를 논하지만 이책이야말로 일본적인 에크리튀를 느낄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싶다.

내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라고 한 자크라캉의 말을 인용한 또 다른 표현이 내가 이야기할 때 내 안에 이야기하는 것은 타자입니다.

타자만이 나를 객관하여 볼수있다는 것이고 글을 마무리함으로써 나자신과의 조우가 가능하다는 것 아니겠는가! 엄청난 엔돌핀이 나온다는 작자의 글쓰기예찬은 독자로부터 막연한 욕망을 꿈꾸게한다.

철학적인 소양이나 어렵지만 매우 와닿는 좋은 의미의 말들과 접하게 되어 기쁜마음이다.

전문서적을 한참 들여다봐야 볼수있는 것을 글쓰면서 이해하게된다면 이얼마나 큰 소득인가

클리셰, 끊임없는 불균형을 통한 언어, 자아의편취, 학문은 길없는 길로 들어가는 것이다 등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진도나가기 어려운 책이었지만 읽어보면 뿌듯한 책이다.

결코 이해할수 없는 나의 기억은 언어라는 것을 통한 나의 영혼을 들여다본다는 나만의 해석을 남기게 되었다. 정말 일본스타일의 내공이 전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글이 살아남는가 - 우치다 다쓰루의 혼을 담는 글쓰기 강의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 / 원더박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주한책 서평단

어떤글이 살아남는가

우치다 다쓰루의 혼을 담는 글쓰기 강의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

원더박스

 

먼저 서평단으로서 이책에 대한 느낌을 적어보자면 몇가지 모순점에 저항감을 느끼게하여

잘 읽어지지않는다생각했다.

그만큼 내용이 충실할수도 있다만 독자의 관점을 이해해야한다면서 이책을 읽는 독자에 대한 생각은 어느정도 했는지 되물어보고싶은 심정이었다.

 

전체 14강에 걸쳐 대학의 한학기강의내용을 그대로 서술한 것으로 보여 문자만으로는 표현하고자하는 내용을 그대로 간파하기에 버거웠다.

추상적인 이야기가 매우 빈번히 나오면서도 글쓰는 요령에 대하여 노하우를 알려주는 듯한 어감은 작가지망생들에게 약간의 혼란스러움을 일으킨다고 생각했다.

무엇을 위한 글쓰기인가 독자들이 좋아할만한 글을 써야하는가 잘 팔리는 글이 좋은 글인가

그러기위해서 혼이 담긴 글을 써야하는가??

베스트셀러작가가 쓰는 글이 좋은 글인가?? 이런 것을 생각해보게 만들었다.

강의자의 자유로운 관점에 의한 작가평가는 가능하지만 책으로서의 작가평가는 매우 위험한 것이다. 설명을 잘하는 작가와 아닌작가의 구분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이다.

 

일본의 한 대학에서 한 강의를 그대로 번역하여 마치 강의실에서 강의를 그대로 보고 있는듯한 느낌이다.하지만 독자에 대한 경의를 이야기하면서 문자들의 나열만으로 어떻게 그 강의를 제대로 이해할수있단 말인가! 가치관이나 문화관이 다른 한국에서는 강의 중간에 불쑥불쑥나오는 고유명사나 지명의 의미를 따라가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잘 읽어지지 않는 책이라고 하는 것이다. 서평하는 나자신도 일본생활을 오래하였지만 이책의 고유명사나 지명이 무슨말을 의미하려는지 바로 알기가 어려웠으니 한국의 독자에게는 더더욱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달하고자 하는 포인트는 명확하고도 틀린 말은 없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글쓰는 이의 목적은 일차로 자기자신을 위한 것이다.

꿈을 꾸기 위해서 매일 아침 나는 눈을 뜹니다.

지하실 밑에 있는 지하실

기본은 체력갖추기부터 여러 일반론적인 좋은 메시지에는 충분히 동감한다.

 

반면 작가의 말을 빌어 표현하자면 콘텐츠는 이해하기가 어렵지만 그 말하려는 뜻은 전해진다.이책이 그런 책아닌가싶다.

에크리튀르(어법의 우리)라는 좋은 의미를 논하지만 이책이야말로 일본적인 에크리튀를 느낄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싶다.

내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라고 한 자크라캉의 말을 인용한 또 다른 표현이 내가 이야기할 때 내 안에 이야기하는 것은 타자입니다.

타자만이 나를 객관하여 볼수있다는 것이고 글을 마무리함으로써 나자신과의 조우가 가능하다는 것 아니겠는가! 엄청난 엔돌핀이 나온다는 작자의 글쓰기예찬은 독자로부터 막연한 욕망을 꿈꾸게한다.

철학적인 소양이나 어렵지만 매우 와닿는 좋은 의미의 말들과 접하게 되어 기쁜마음이다.

전문서적을 한참 들여다봐야 볼수있는 것을 글쓰면서 이해하게된다면 이얼마나 큰 소득인가

클리셰, 끊임없는 불균형을 통한 언어, 자아의편취, 학문은 길없는 길로 들어가는 것이다 등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진도나가기 어려운 책이었지만 읽어보면 뿌듯한 책이다.

결코 이해할수 없는 나의 기억은 언어라는 것을 통한 나의 영혼을 들여다본다는 나만의 해석을 남기게 되었다. 정말 일본스타일의 내공이 전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처 주지 않는 대화 - 갈등을 해결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비폭력대화의 기술
마셜 B. 로젠버그 & 가브리엘레 자일스 지음, 강영옥 옮김 / 파우제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대화의 기술-자존감
내용 평점3점 편집/디자인 3
nikkan | 2018.03.07
[원문] http://m.blog.yes24.com/document/10215903

한주 한책 서평단 하지영

(갈등을 해결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비폭력대화의 기술)

상처주지않는 대화

마셜 B.로젠버그 가브리엘레 자일스지음

파우제



이제 거부할 수 없는 중년이다. 40대의 중반을 지나 후반이다.

돌이켜보면 후회되는 것들이 주마등처럼 슬쩍슬쩍 생각나 지나간다.

그중에 하나가 언어습관이다. 잘못된 언어습관!

본서는 그런 나의 모습을 거울처럼 비춰주고 아름다운 말년을 생각해보게 한다.



좋았던 것은 단순화 대화기술의 솔루션제시보다는 자신을 돌보게 하라는 메시지가 더욱 의미깊다. 내가 느낀 감정이 좋고 나쁜 것은 없다. 그감정은 나의 모습을 알려주는 화면아닌가.

잘못된 것은 그감정을 잘못 표현할때이지싶다.

예를 들어 요즘의 핫이슈인 미투에 의한 성폭력은 어떤가? 성폭력이 나쁜것이지 성욕저체가 금기시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을 어찌 막을 수있는가.

나의 감정을 막지 고 아름답게 승화시키고 살려낸다면 그 누구보다 행복한 인생아닌가.



차례를 보면 제목이나 소제목으로 충분히 책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어렵지 않은 구성이었다. 소제목에서 명확한 메시지전달은 독자들에게 시원한 사이다가 되기 때문이다.

너줄한 긴문장의 설득글보다. 자주 보았지만 잃어버린 그 문장한구가 우리에게 그날의 영양분이 될수도 있다. 잃어버린 나의 자존감은 내가 잊어버린 그 문장한구이다.

‘나의 감정은 온전히 나의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마지막유언이 자신을 잘돌보라한것과 비슷하지않은가.



‘삶의 갈증이 욕구가 된다.’

‘삶의 모든 순간에 책임을 갖는 용기가필요하다’

‘아이도 부모의 욕구를 이해할 수있다’

‘옳다, 그르다의 말은 아이의 자존감을 낮출 수있다’

‘아이의 마음을 섣불리 판단하지않는다’

‘아이들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



유명한 그 ‘시크릿’책에서 이야기하는 자기충족예언(Self fulfilment prophecy) 자기가 예언하고 바라는 것이 실제 현실에서 충족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반복되는 뻔한 내용이지만 우리에게는 매우 매일 먹는 식사와 같은 것이다. 먹어본 음식이라고 안먹거나 새로운 음식만을 섭취할 수는 없지않은가!



간지왼편에 있는 짤막한 문구는 매우 임팩트감있게 메시지를 전달해주었다.

‘우리 자신과 일상 영역의 범위에서 매일 사용하는 언어와 사고에 깃들어 있는 폭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우리의 첫 번째 과제입니다. 그리고 인간을 조건화하고 삶에서부터 물리쳐야 하는 불행을 양산하는 권력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 두 번째 과제입니다.’





사족

말표현이 어색한 표현이 오히려 의미를 생각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말이 필요없는 것이 공감이다?’ 무슨말일까?

‘내안의 인간미에서 멀어지지 말 것’ 이건 무슨말인가?

글을 이해하자면 공감은 과거가 아닌 현재의 순간에 일어나는 것들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말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원어저작부터 그랬는지 내용의 축약을 너무 많이 해서 의미전달에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따뜻한 종교이야기 - 유신론자와 무신론자 모두를 위하여 My Little Library 3
김환영 지음 / 한길사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주한책서평단 하지영

 

따뜻한 종교이야기

-유신론자와 무신론자 모두를 위하여

( Heart-warming story of religion For All Theists and Atheists)

김환영지음

한길사

 

 

무하마드 알리가 그랬다. 각종교의 이름은 다르지만 모두 진리를 담고 있다고했다.

물을 담고 있고 있는 것이 강, 연못, 호수, 개울등 여러형태가 있듯이 말이다.

산꼭대가 있으면 등산로가 여러개있다는 것과 비슷한 이야기이다.

본인은 납득할 수 없는 뜨거운 감자임이 틀림없다.그래서 이책을 선택하고 읽기전의 생각이 어떤지 위치지정을 해놓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만약 생각의 위치가 바뀌거나 그 지경이 넓어졌다면 이 독서는 그만큼의 의미가 깊어지는 것이니까말이다.

 

여러 담론이 머릿속에 밀려와 복잡해진다.

종교란 체험의 문제라고 한다.저자는 이미 자신의 생각이 기준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다문화,다종교로부터 진리는 여러개라는 것이다.

0

차례를 보면 빠르게 책의 내용을 파악할수있지만 본서는 차례만으로 내용을 금방 알수는 없게 되어있다. 내용을 읽고 보면 차례의 의미가 이해되지만말이다.

 

어찌됐건 기독교와 카톨릭 이슬람교 샤머니즘 불교 신비주의교 등 종교의 여러종류를 알아볼수있도록 해놓았다.

사람이란 자기것밖에 보지않으려는 성향이 있다.그런면에서 본서는 자신의 종교이외의 종교,무신론을 포함해 훑어볼 수 있어 의미가 있다.

 

기독교도인 본인으로서 이런기회가 아니면 불교, 티벳교 샤머니즘 등을 접해볼 수 있겠는가? 하물며 무신론자들의 생각을 말이다.

 

사실 서양의 종교, 무슬림이나 기독교 역시 서로 내용이나 원뿌리가 비슷한 시기에 태동한 면이 있다. 그렇지만 멀리서 보면 비슷하나 정작 당사자들은 상대를 인정하지 않는다.

비유을 하자면 좌익세력은 한색깔인것같은나 극단좌파일수록 다른 좌파를 절대 용인하지않는것과 비슷하다고나 할까?

 

-

다소 종교에서이 음모론을 모아놓은 듯한 설화나 카더라정보가 많았다.

신앙의 종교인은 자신의 신앙에 방해되는 그 어떤 정보나 이론도 받아들이지않고 듣지않으려는 성향이 있다.의견이나 설을 잘못 들었다가 의심의 씨앗이 싹터서 신앙에 잘못 영향을 미칠수있기 때문이다.

 

사족을 더하자면 저자의 저술에서의 치명적 실수가 엿보여서 눈살을 찌푸렸다.

종교라는 형이상학적소재를 가지고 그 내용은 어는 누구도 진리라고 할 수 없어 매우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의견이 증명된사실인양 못박아이야기하는 표현이 다소 많았다.

어느정도는 생각의 차이가 있고 자신의 생각도 틀릴 수도 있다라는 여지를 남겨놓는 센스가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