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스테이는 지구에서 ㅣ 뉴온 3
장한애 지음, sujan 그림 / 웅진주니어 / 2022년 11월
평점 :
책을 들어올리자마자 신비로운 보랏빛 색감의 표지 일러스트와 '홈스테이는 지구에서'라는 제목이 한 눈에 들어온다. 엄마와 주인공 '공유수'가 함께 운영하고 있는 우주여행자를 위한 홈스테이에 대한 설명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는데, 특히 시작 부분의 홈스테이 규칙이 참 흥미롭다.
1. 방 안에선 자유지만, 방 밖에선 지구 생명체의 모습과 언어, 행동을 유지한다.
2, 어떤 종류의 폭력도 금지, 특히 지구인을 먹지 않는다.
3. 호스트와 다른 손님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이 규칙을 읽는 순간 자동으로 우리 반 교실의 규칙으로 번역되어 읽혔다.
1. 학교 밖에선 자유지만, 학교 안에선 학생의 모습과 언어, 행동을 유지한다.
2. 어떤 종류의 폭력도 금지, 특히 친구를 때리지 않는다.
3. 선생님과 다른 친구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홈스테이 규칙을 읽다보면 어느 순간 이야기에 몰입하게 되는데, '좋은 떡, 배배꼽, 바늘 도둑, 말이 씨, 가랑비' 등 주인공이 지구에 찾아온 여행자들에게 어울리는 속담의 일부를 바탕으로 붙여준 손님들의 이름도 참 흥미롭다. 신비로운 머리빛깔과 눈동자를 가졌지만 어딘가 까칠한 가랑비와 안드로메다라는 별명을 가진 엉뚱한 준수,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 외계인이라고 불리는 공유수가 핑크유니버스의 비밀을 파헤쳐가면서 쌓아가는 우정 이야기를 읽고 있자니 어쩐지 영화 E.T가 떠오르기도 했다.
"자리에 앉아 책을 펼쳤다. 이런 일에는 익숙했다. 늘 외계인 취급을 받아 왔으니까. 우주에서 온 여행자나 방문자가 아니라, 넌 우리와 다르다고 편을 가르는 느낌의 그 '외계인' 말이다."
어쩌면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우주 여행자가 숨어있을지도 모른다. '홈스테이는 지구에서' 속 여러 등장인물들이 지구인이든 외계인이든 편을 나누어 편견을 가지고 서로를 바라보지 않고,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받아들인 것처럼 우리 주변의 우주 여행자들과 친구가 되어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