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목스님이, 스님이 되기로 마음 먹은 것이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를 읽고서라는 말을 어디선가 들었다. 마음이 답답하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한 치 앞도 모르겠어서 어쩌면 나도, 이 책을 읽으면 그 막막함이 풀어질까, 막연히 생각했다. 스님을 스님이 되도록 만든 책이라면 나에게도 뭔가 답을 주지 않을까 싶어서.

 

이 책을 다 읽은 지금, 책을 덮고서 나는, 답은 얻었으나 더욱 막막해졌다. 싯다르타가 말해준 답은, 자신에게는 답이 없다는 답이었다. 스승 고타마를 뒤로 하고, 가족도 친구도 두고, 싯다르타는 홀로 다시 길을 떠난다. 그리고 그는 삶의 희로애락을 겪으며 세속적인 탐욕과 절망에 허덕이다, 스스로 얻은 깨달음을 통해 마침내 강처럼 고요하고 잔잔한 마음을 얻는다. 책의 말미에서 다시 만난 친구 고빈다가 어떤 사상을 통해 깨달음을 얻었느냐 묻자 싯다르타는 이렇게 말한다.

 

"이보게, 고빈다, 내가 얻은 생각들 중의 하나는 바로, 지혜라는 것은 남에게 전달될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이네. 지혜란 아무리 현인이 전달하더라도 일단 전달되면 언제나 바보 같은 소리로 들리는 법이야."

 

그럼에도 고빈다가 이해하지 못하자 싯다르타는 돌멩이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이 얻은 하나의 가르침에 대해 말한다.

 

"사랑이라는 것 말일세, 고빈다, 그 사랑이라는 것이 나에게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여겨져. 이 세상을  속속들이 들여다보는 일, 이 세상을 설명하는 일, 이 세상을 경멸하는 일은 아마도 위대한 사상가가 할 일이겠지. 그러나 나에게는,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것, 이 세상을 업신여기지 않는 것, 이 세상과 나를 미워하지 않는 것, 이 세상과 나와 모든 존재를 사랑과 경탄하는 마음과 외경심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는 것, 오직 이것만이 중요할 뿐이야."

 

고빈다는 싯다르타의 이 말이 부처의 말씀과 모순된다고 얘기한다. 세존이 말씀하신 것은 용서와 자비심이지 사랑은 아니라며. 오히려 세속적인 사랑이라는 감정에 얽매이지 말라고 하셨다며.

 

그러나 마지막, 싯다르타와 입맞춤을 통해 그는 싯다르타의 말이 세존 고타마의 것과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싯다르타에게 강렬한 사랑과 외경심을 갖게 된다.

 

지혜는 말로써는 전달되지 않는 것. 오직 행동과 경험을 통해 전달될 수 있음을, 불교라는 사상이 말하는 것이 결국 사랑이라는 진리를 향한 것임을. 싯다르타가, 아니, 헤세가 얻은 깨달음이란 결국 그렇게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그런 점에서 공감이 많이 갔다. 불교든 기독교든, 다른 단어로, 다른 방식으로 말하고 표현될 뿐, 결국 같은 것이다. 우리가 성인聖人들의 말씀이 아니라 행동을 좇는다면, 그곳에는 어떤 분별도 없고, 어떤 왜곡도 없이, 하나의 가르침만 있을 것이다. 부처의 삶이나 예수의 삶이나 결국 다를 게 없지 않나. 말로써 가를 뿐.

 

그러나 이해는 가는데, 여전히 막막하다. 이 또한, 하나의 지식, 앎에 지나지 않기에 그런 걸까. 어쩔 수 없이 부딪칠 수밖에 없다. 책에는 답이 없는 것을. 알면서도, 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