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의 포도밭 - 읽기에 관한 대담하고 근원적인 통찰
이반 일리치 지음, 정영목 옮김 / 현암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과학, 자연과학 책을 읽으면서 책읽는 어려움에 빠져듦과 동시에 책읽는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 그런 고민들은 이 구절에서 시작되었다.

 

읽는 사람이 과시를 목적으로 지식 축적을 추구하지 않고, 노력을 통해 지혜로 나가려 할 때 익혀야 할 습관을 형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읽는 사람은 모든 관심과 욕망을 지혜에 집중하기 위해 스스로 망명자가 된 사람이며, 이런 식으로 지혜는 그가 바라고 기다리던 고향이 된다. <본문에서>

 

그렇다.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읽었던 책들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것도 매우 멀리. 12세기 이전으로 가려다가 가지 못한 그 어느 지점에서 방황하고 있다. 그러나 구절 속에서 수도원에서의 읽기를 상상해본다.

 

그들은 수도원 생활방식에서 빠질 수 없는 한 부분으로 라틴어에 진입했다. 종교적 콘베르시오[회귀, 변화, 전환, 개종]는 라틴어, 문자, 평생에 걸쳐 뿌리를 내린 상태, 복잡한 기도 의식 등으로 들어가는 것이었으며, 이것들은 모든 수사가 행하는 복종의 다양한 측면들일 뿐이었다. ~ 일단 아이가 수도원의 정적 안으로 들어가면, 라틴어는 아이의 목소리의 주요 출구가 되었다. 작업장, 주방, 들판과 마구간 등 어디를 가나 수도원의 정적을 배경으로 라틴어는 크게 느껴졌을 것이다. <본문에서>

 

그리하여 수도원에서의 읽기는 다음으로 변화하고 고민한다.

 

소리내지 않는 특정한 읽기 방법의 존재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이고 명시적인 진술 또한 후고에게서 나왔다. 읽기는 책에서 가져온 규칙과 교훈을 기초로 우리정신을 형성하는 것이다. 읽기에는 세 종류가 있다. 가르치는 사람의 읽기, 배우는 사람의 읽기, 혼자 책을 묵상하는 사람의 읽기다. 후고는 세 가지 상황을 구분한다. 다른 사람들을 위해 소리내어 읽으면서 페이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의 상황, 읽은 것을 듣는 사람, 즉 교사나 읽는 사람을 통하여 또는 그 ‘밑에서’읽는 사람의 상황, 책을 조사하면서 읽는 사람의 상황이다.

물론 소리 내지 않는 읽기는 고대에도 이따금씩 이루어졌지만 그것은 묘기로 여겨졌다.

<본문에서>

 

필사자들의 이야기 또한 빠트릴 수 없다.

 

필사자들은 마치 표의문자처럼 한 단어 한 단어를 눈으로 붙들어 자신이 작업하는 페이지에 옮길 수 있었다. <본문에서>

 

읽기는 ‘발화의 흔적에서부터 개념의 거울까지’로 나아간다.

 

400년 동안 <디다스칼리콘>을 실제로 이용한 사람들은 혀와 귀로 읽지 않았다. 그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훈련을 받았다. 그들에게 페이지에 있는 형태들은 소리 패턴을 촉발하기보다는 개념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다. 그들은 ‘수사’의 방식이 아니라 ‘학자’의 방식으로 읽고 썼다. 이제 포도밭, 정원, 모험적인 순례를 떠날 풍경으로서 책에 접근하지 않았다. 이제 책은 그들에게 보고, 광산, 창고에 가까운, 판독할 수 있는 텍스트였다.

후고의 세대에 책은 인시피트가 입구인 복도와 같았다. 누가 어떤 구절을 찾고자 책을 넘긴다 해도, 그 구절을 만나게 될 확률은 아무 데나 펼쳤을 때보다 더 높지 않았다. 그러나 후고 이후에 책에서 원하는 곳으로 들어갈 수 있고, 자신이 찾는 것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전히 인쇄된 책이 아니라 필사본이지만, 테크놀로지라는 면에서는 이미 상당히 다른 물체였다. 서술의 흐름은 이제 문단으로 조각조각 나뉘고, 그 총합이 새로운 책을 구성했다.

<본문에서>

 

이제 1980년대 중대한 변화의 이야기를 말한다.

 

말의 기록에서 생각의 기록으로, 지혜의 기록에서 지식의 기록으로, 과거에서 물려받은 전거의 전달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지식’의 저장으로 변화해간 것은 물론 12세기의 새로운 정신 상태와 경제를 반영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 새로운 테크닉을 이용하게 되면서 현실을 생각하는 새로운 방법이 어떻게 자라났는가? <본문에서>

 

이 책을 읽으면서 나에게 읽기는 무엇이었는지를 고민했다.

이 책을 처음에 나온 말, “구해야 할 모든 것 가운데 첫째는 지혜다.“를 떠올리고,

이반 일리치가 생각하는 읽기에 대한 대담하고 근원적인 성찰을 위하여 다시 본문을 소리내어 읽어보고 혹은 묵상도 해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