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신기욱.마이클 로빈슨 외 엮음, 도면회 옮김 / 삼인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한국이란 알에서 깨어나다


신기욱, 마이클 로빈슨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삼인, 2006)


식민지 시대에 대한 글을 접하다 보면 한국인은 희생자, 일본인은 가해자라는 이분법적 성향과 그에 따라 우리는 보상을 받아야 한다는 패배의식과 일본에 대해 강한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의 패러다임을 우리 또한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식민지 근대화론과 내재적 발전론을 주장하는 의견에 있어 식민지 근대화론은 일본의 한국 식민지하를 정당화 하는 것 내재적 발전론은 그와 반대되는 것으로 판단을 내리고 있다.

 

 

이 책은 과연 근대화 자체가 헤겔주의적1) 시각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면만을 가지고 있는지 반문 하고 있다. 그리고 근대화 자체는 곧 발전과 긍정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답한다. 이 책의 저자는 탈민족주의의 관점에 입각하여 상호 대립하는 두 가지 인식을 모두 비판하고 있으며 헤겔주의적 역사관이 아니라 그람시의 헤게모니2) 개념3)에 의해 식민지 시기를 근대적 지배-종속관계로 볼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식민지 근대성과 헤게모니, 식민지 근대성과 정체성으로 나누어서 총 12개의 장으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식민지 근대성과 헤게모니에서는 법치, 방송, 식민지 조합주의와 문화정치에 관하여 논의를 하고 있으며 식민지 근대성과 정체성에 관해서는 여성운동과 박완서 이광수에 대한 소설, 한국의 백정운동, 신채호의 역사서술 등을 기술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제 2장 방송 문화적 헤게모니, 식민지 근대성에서 그 당시 상황을 세밀하게 묘사함으로 다양한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일반적인 민족주의적 서술처럼 식민지 시대의 라디오가 일본의 선전과 문화적 동화정책으로만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이런 라디오 보급이 제한적이지만 한국의 문화적 자율성을 증가시켰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라디오 방송 자체를 근대적 기술로만 보는 것은 지나친 단순화라고 비판을 하며, 근대성을 받아들이기 위한 투쟁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 책은 기존의 단일하고 일선적인 민족주의 역사관을 비판하며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과가 있다. 그리고 식민지에서 근대화가 진전되었다는 것을 인정하는 과정이 일본의 한반도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미화하는 기존의 식민지 근대화론과는 다르기 ‹š문에 의의가 있다. 또한 역사적 의미를 생각 할 때 무엇이 진상이냐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어떻게 인식해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가에 대해 더욱 더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한국인에게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역사를 바라보라는 메시지도 담고 있다.


 

[각주]


1) 헤겔주의 : 헤겔의 철학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주의. 변증법, 현실주의, 관념론, 역사주의가 그 근본 사상이다. 여기서는 저개발국 → 선진국 봉건제 → 자본주의 처럼 단선적으로 발전한다는 논리를 의미하고 있다.

2)헤게모니 : 국가든 사회든 어떤 실체가 존속하기 위해서는 지배계급의 집행력 뿐 아니라 피지배계급을 승복시키고 또 그들도 기꺼이 따르는 일종의 도덕적 동의가 필요하며, 이것을 '헤게모니'라고 했다.

3) 그람시의 헤게모니 : 민중의 자발적 동의와 강제력의 지배가 균형을 이룰 때만이 한 사회를 이끌어가는 헤게모니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