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아려 본 슬픔 믿음의 글들 208
클라이브 스테이플즈 루이스 지음, 강유나 옮김 / 홍성사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나에게 충격 그 자체였다. 위대한 변증가 c.s.루이스의 글이 맞을까 싶을 정도로 하나님에 대한 적나라한 원망으로 가득차있다. 길지 않은 분량의 거의 끝자락까지 그 원망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다. 

그러나 불과 몇 페이지를 남겨두고 그가 이루어가는 결론의 과정은 또한 놀라움 그 자체다.
읽는 내내 마음이 무거웠다. 당면한 개인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고통의 의미를 되새김질하고 있었고, 철학적 사유를 동원하자면 작가의 마음이 고스란히 다가와 가슴을 짖눌렀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힘든 점은 바로 c.s. 루이스의 깊은 원망이 공감이 되어버리는 내 상태 때문이었다. 원망이란 일종의 관계의 파괴다. 가장 신뢰하는 존재와의 관계가 소원해진다는 것은 당면한 개별적 고통을 넘어서는 또 다른 고통이다. c.s. 루이스도, 또 그로 인해 나역시 고통스러웠다.
모든 위대한 인물들이 가진 특징은 현실을 직시하고 또 현실앞에 대단히 솔직하다는 점이다. 그들은 고난앞에서도 진실하다. 고통앞에 선 자신의 감정을 관찰하지 않는다. 고난의 의미만을 고뇌할 뿐이다. 그들은 pathetic하지 않다. c.s.루이스 역시 그러하다.
작가는 단 몇 페이지의 분량을 통해 결론을 내리고 있다.
자신이 사랑하는 아내는 이미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혼돈스럽게도 그를 괴롭히는 것은 떠나버린 아내가 아닌, 홀로 남겨진 자신의 습관적이고 경험적인, 아내에 대한 `기억`일 뿐이라는 점..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아닌, 하나님에 대한 나의 생각을 사랑했었다라는 결론..
위대한 루이스여...
인간의 모든 것이 그러하다. 대상과의 관계는 늘 수용적이고 경험적이다. 시간과 공간을 벗어나지 못하고 대단히 주관적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인간이다. 사람과 사람사이, 그 관계성이 인간이 아니던가.. 그러니 그것이 곧 한계다. 인식이란 그렇게 슬픈 것이다..
어쩌면 c.s.루이스는 이러한 타자성을 짙은 고통을 통해 발견했는지도 모른다. 마지막의 짧은 분량을 통해서 결론짓고 있는 작가로서의 놀랍고 수려한 문체는 그의 천재성을 보여주지만, 그가 지독한 고통가운데서도 진리를 발견하는 것은 그가 가진 신앙의 힘을 나타낸다.

c.s.루이스의 결론을 통해 골칫거리 이웃을 생각해 본다...
만나면 골치아픈 저 옆집사람은 진짜 나쁜 사람일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