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주노초파람보
노엘라 지음 / 시루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집인줄알았다.
하지만, 마지막장을 덮고단 지금 실타래처럼 엮여있는 각각의 이야기가 주위의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소설을 써갈수있다라는 생각이든다.
현재와 은하, 은하와 상윤, 상윤과 현재, 현재와 승환, 승환과 소희, 그리고 은하와 소희
각각의 이야기들은 단편소설과 같은 각각의 이야기가 있고, 또 이야기는 모여 하나의 이야기가 된다.


현실이 꿈인지, 꿈이 현실인지..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가 결국은 현재와 은하의 관계를 나타내는거 같기도하고..

사랑이 궁금하던 시절이 있었다.
사랑이 고프던 시절이 있었다.
사랑이 애틋하던 시절이 있었다.
사랑이 아프던 시절이 있었다.
사랑이 전부이던 시절이 있었다.
사랑이 고통이던 시절이 있었다.
사랑이 전부이던 시절이 있었다.
그리고 사랑이 죽어버렸다.


사랑과 사람.  그리고 관계에 대해..
익숙한듯 표현되는 일상들이 너무나 섬세한 언어들로 기록되어 있다.

감미로운 문체는 음악을 하는 작가의 예술적 감각을 보여주는 듯하다.

출간과 동시에 영화화 확정 화제작!
그부분도 관심을 끌기엔 충분했지만,
노엘라라는 바이올리니스트 약력에 더없이 놀라게 된다.

가는 실처럼 어딘지모르게 얽혀있는 관계에 있어서의 연관성을 찾아가는 것도 나쁘지않을거같은 소설이다.



책 중간 중간 꿈에 대한 짧은 글들은 삶속에서 꿈이었으면 하는 순간에 대해 미리 이야기해주는듯 하다.

만약 꿈이 깨어 있는 삶의 반영이라면 삶 또한 꿈에 대한 반영이다.
-마그리트


쌍둥이 오빠를 사랑한 비블리스 신화와 이카루스 이야기가 처음의 소설의 복선과 마지막 파국을 이야기한다.

빨주노초파람보
각각의 색마다 담겨있는 고유의 색에대한 이야기를 사람을통해 조금은 슬픈감성으로 담고싶었던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나는 그 기억이 실제였다고 믿는다.
사실과 기억이 다를 수 있는 것을 우리는 늘 체험하며 산다.
과거는 기억만으로 존재한다.
지금 이 순간도 기억하지 못한다면 존재했다고 말할 수 없다.
그리고 그것은 기억이 있다면 존재한 것이라는 역설을 가능하게 한다.


조금은 어렵지만..
꿈같은 나의 기억이, 꿈인지, 현실인지..내기억속의 나의 감정이야 말로 사실이라는 부분은 기억하라고 이야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