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랑 - 김충선과 히데요시
이주호 지음 / 틀을깨는생각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역사소설이다.

이렇게 까지 운명을 거스를 수 있을까?
김충선이란 인물을 책을 통해 알게되었지만,
조선시대라는 지극히 폐쇄적이었던 시기에 조선으로의 항왜를 선택한 일본인이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책장을 넘기기에 충분한 동기를 선사한다.
임진왜란 그리고,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는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접했지만..
김충선이란 인물은 처음이다. 조금은 부끄럽기도하고..


역랑 [逆浪]
1.역풍으로 인하여 거슬러 밀려오는 물결.
2.세상이 어지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임진왜란이 있기까지 일본의 전국시대를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김충선이 되기까지 그가 일본인으로 지냈던 어린시절과 전쟁터에서의 이야기들이 사실인지,허구인지 분간이 되지 않게 전개된다.

답을 찾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br />그게 제 꿈입니다!

결국 김충선은 히로라는 일본 이름으로 일본뎃포 부대의 부대장으로 지내면서 전국시대의 혼란속에 크나큰 희생양이 된 인물이라는 생각이 떠나질않는다.
낭중지추라는 말이 맞는것일까?
원하지 않아도 시대가 끌어당기는 사람..

항왜를 선택하기까지의 허구속에 숨어있는 역사가 궁금해지기도 하고..
만들어진 소설속의 이야기보다 더 가슴을 울리는 사실이 있을거 같다는 생각도 든다.

히데요시,김충선,그리고 이순신
전쟁은 그들에게는 어떻게 기억이 될까?
이에야스와 히데요시
히데요시의 열등감이 결국은 조선의 땅까지 확장하려는 전쟁의 서막이 아니었을까..
낯설지만...어딘가 낯설지않은 일본역사속인물들의 전쟁무용담같은 이야기에 담겨진 김충선의 이야기가 귀화를 선택한 그의 동기에 더 힘을 실어주기 위함인 듯하다.

내가 이 나라에 귀화한 것은 잘되기를 구함도 아니요, 명예를 취함도 아니다.<br />대개 처음부터 두 가지 계획이 있었으니, 그 하나는 요순 삼대의 유풍을 사모하여 동방 성인의 백성이 되고자 함이요, 또 하나는 자손을 예의의 나라에 남겨서 대대로 예의의 사람을 만들고자 함이라.<br /><br />김충선, [모하당집]의 녹촌지 중에서


그 자신보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
그 자신보다 자신이 이끄는 부대원들..
그 자신보다 자신이 은혜를 입은사람들..

나보다 내주위를 먼저 생각했던 히로,사야가,김충선의 충심이 조선이라는 나라를 택했을 것이다.

이순신과 히데요시간의 대립이 담겨있을거라는 생각을 과감히 벗겨준 책이다.

같은시대 같은 출발점, 같은 질주, 같은 도착점을 향해
같은선에서 움직였던 김충선과 히데요시의 이야기가 결국은 역랑이라는 생각이 든다.
거슬러 밀려오는 역사의 물결을 온몸으로 맞섰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내가 보지못했던 이면의 역사가 궁금해진다.


소설속의 아름답게 더해진 허구이긴하지만,
전쟁속에 히로와 아츠카의 사랑도..애틋함과 안타까움으로 다가온다.

여자 입장이다보니..히로보다 아츠카가 더 안타깝게 느껴졌다.

볼 수만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거든 다행히 지금은 볼 수 있게 됐으니 보고 있는거야.

역사의 아픔과 적절히 버무려진 둘의 사랑이 더 아프게 느껴진다.
히데요시 수하에 인질로 잡혀있는 동안에도 누구보다 히로의 안전을 걱정했던 아츠카..
물이 흐르는대로 살아가는 삶이 얼마나 소중한 부분인지..주어진 운명에 순응한다는것이 소박한 삶을 꿈꾼다는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다시한번 나의 삶을 되돌아 보는 시간이 된다.

역랑;역풍으로 거슬러오는 물결,
거슬러오는 시대의 물결속에 답을 찾는 사람이 되고 싶었던 어린 김충선 히로..
그는 김충선으로 귀화했을때 답을 찾았을까?
원하지 않아도 시대가 끌어당기는 사람이 김충선이 아니었을까?
일본과 조선의 사이에서 한 인간으로 고뇌했을 김충선의 삶에 한발가까이 다가설수있는 책이다.


난은 말이야. 습도가 높은 것을 좋아하나 뿌리가 늘 젖어 있으면 썩고 만다. 귀하고 비싼 것이라고 생각되어 매일 애지중지 들여다보면서 물을 주는 초보자는 난을 반드시 죽이게 되지.
그렇다고 해서 너무 오래도록 물을 주지 않으면 탈수로 죽고.
그래서 언제가 물을 주기에 적합한 때인가를 안다는 것은 난을 키우는 첫걸음이면서 이해와 교감의 첫 관문이라는 거지.
2~3일에 한번씩 분의 표토로부터 손가락 한 마디 정도 되는 깊이의 식재를 뒤적여 본 뒤 젖어있지 않으면 그 때가 물을 줄 적기라는 거야


히로를 향한 말인듯 딸인 아츠카에게 겐카쿠가 전하는 이야기가 오래동안 기억에 남을 듯 하다.


#역랑
#김충선과 히데요시
#이주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