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 살리는 잔소리 죽이는 잔소리 - 아이의 그릇을 키우는 43가지 비결 엄마의 서재 10
정재영.이서진 지음 / 센시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세상에 잔소리를 하지 않는 부모는 없을 거예요,,


도대체 잔소리는 왜 하게 되는걸까요?

사춘기 딸이 두명이나 있는데 잔소리 안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싶을정도입니다



저 또한 하루에도 몇 번이나 아이에게 잔소리를 많이 하기에

그것이 정말 아이를 위한 것인지 내 자신이 화가 나서 하는 잔소리인지

가끔 반성하게 됩니다.. 아니 늘 반성은 하죠

그러나 잔소리를 아예안하는건 너무 어려워요 ㅠ



저도 내 아이를 살리는 잔소리 죽이는 잔소리 제목처럼 이책을 통해서

이제는 아이의 행동보다는 그 마음을 이해하고 읽어주면서

아이의 눈높이에 맞춘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의견과 선택을 존중하여

행동하도록 가르쳐줄 수 있는 부모가 되고 싶습니다~


아이에게 약이 되는 잔소리와 독이 되는 잔소리가 분명 따로 있으며,

잔소리의 원인은 대게 아이가 아닌 부모에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이 귀에 쏙 들리고, 아이 마음에 확 와닿는 잔소리,


그리고 잔소리의 '보이지 않는 원인'은 부모에게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이를 변화시키는 똑똑한 잔소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모 자기 자신의 내면을 투명하게 들여다보고

그것을 치유할 힘을 길러야 한다는 것을요,,

결국 자신을 미워하면 나쁜 부모가 되고, 자신을 긍정할수록

더 착한 부모가 된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겠네요.

그리고 아이의 미래를 지나치게 걱정하거나 두려워하는 마음에

아이에게 하는 잔소리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부모가 아이의 잠재력을 믿지 않고 아이의 미래를 불안해하면

그 감정은 고스란히 아이에게 전달되니까요..


책에는 잔소리에 대한 다양한 예시들이 나와 있는데, 활용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너는 부모 고마운 줄을 모른다."라는 잔소리 대신

"네가 엄마 아빠를 지켜주고 있어 고맙다."라고 말해보면 어떨까요?

왜 그런 일로 짜증을 내니? -> 왜 그런 일에 짜증이 날까? 감정을 표출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분석해 보라고 제안하여 스스로 감정을 파악할 수 있게... (이것은 좀 어렵더라구요 ㅠ)

너는 세 가지를 잘못했어 -> 너는 세 가지를 잘하고 하나를 잘못했어 부정적인 잔소리를 자신을 미워하게 하기 보다 긍정적인 아이가 되도록 칭찬을 더 많게 하여 적절하게!

제발 책 좀 읽어 -> 엄마는 그 부분이 정말 감동적이었어! 독서에 대한 흥미 유발로 서서히 책에 관심을 갖게하는 것

출처] 공감 잔소리 내 아이 살리는 잔소리 죽이는 잔소리/센시오 (우리아이 책카페) | 작성자 알럽호찬



아이에게 건네는 잔소리는 ‘아무거나’, ‘닥치는’ 대로여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 많이 연습해보려고 노력하지만 역시나 어렵네요 ㅠ


아이와의 관계가 원활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 때

책을 통해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잔소리, 부모-자식 간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잔소리에 대해 공부해 보면 좋을 듯 하네요~

잔소리에도 공식이 있고 법칙이 있습니다. 분명하고도 간결한,

자상하지만 단호한 메시지를 주는 부모가 되어 보세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출처] 내 아이 

1부 아이를 살리는 잔소리, 이런 부모가 할 수 있다

2부 아이 마음이 단단하고 따스해지는 잔소리

3부 아이의 태도와 스스로 달라지는 잔소리

잔소리를 정의하자면 '필요 이상으로 긴 사소한 충고나 지시'라고 할 수 있다(p4) 시작은 대화였던 것 같은데 끝은 잔소리로 끝나는 이유가 이것인가 봅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이것만큼은 했으면 좋겠고, 해야 할 것이 있어서 말하는 건데 아이 입장에서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들은 이야기를 또 듣게 되니 듣고 싶지 않고, 그에 부모는 또 이야기하고 지시하니 잔소리의 나쁜 영향으로만 되는 것 같아요. 그럼 잔소리도 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한 번에 딱 아이들이 알고 따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책에서는 그 방법이 있고 비법이라고 말합니다.

1부 아이를 살리는 잔소리에서는 아이보다는 먼저 부모를 알아야 합니다. 혹시 부모의 부족한 부분이 아이에게 보여서인지? 부모라는 권위로 미리 불안한 앞날을 내세워 지시형으로 하지는 않았는지? 감정이 먼저 앞서지 않았는지 먼저 파악하고 자신의 확신을 버리고 자신의 아픔을 치유해야 잔소리가 부드러워질 수 있다 합니다. 역시나 나보다는 아이의 입장을 생각해 보기 위해 한 박자 쉬면 잔소리가 줄어들 것 같아요. 이미 내뱉은 말을 후회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거든요. 부모의 고마움을 강요하기보다 부모 먼저 아이의 고마움을 기억하고, 아이의 미래를 믿으면 잔소리가 부드러워지고 순해집니다. "너는 왜 부모 고마운 줄을 모르니?"보다 '너는 엄마 아빠에게 너무 감사한 존재야. 정말 고마워.'라 하면 아이도 부모의 사랑을 느껴 행복함을 느끼지 않을까요?

잔소리 죽이는 잔소리 (우리아이 책카페) | 작성자 보라공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