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행복은 우연히 마주치는 것이어서 그대가 길을 가다가 만나는 거지처럼 순간마다 그대 앞에 나타난다는 것을 어찌하여 깨닫지 못했단 말인가. 그대가 꿈꾸던 행복이 그런 것"이 아니었다고 해서 그대의 행복은 사라져 버렸다고 생각한다면-그리고 오직 그대의 원칙과 소망에 일치하는 행복만을 인정한다면 그대에게 불행이 있으리라.‘ 앙드레 지드 - P48
예전 책에 ‘여기서 행복할 것‘이라는 말을 써두었더니 누군가 나에게 알려주었다.‘여기서 행복할 것‘의 줄임말이 ‘여행‘이라고나는 크게 고개를 끄덕였다. 27page
나는 인간으로서 내가 맡은 일을 다 했다. 내가 종일토록기쁨을 누렸다는 사실이 유별난 성공으로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어떤 경우에는 행복해진다는 것만을 하나의 의무로 삼는 인간 조건의 감동적인 완수라고 여겨지는 것이었다. ‘알베르 카뮈‘ - P25
한 철학자는 행복이 의무로 강제되는 사회에선 불행이 권리가 될수 있다고 말한다.규범과 불화하는 불행의 감각은 불쾌감 이상의 정치적 감정으로 급진화될 수 있다. 무엇도 될 수 있고 아무것도 아닐 수 있는 이 책에 그려진 많은 감정들을 그저 미워하고 사랑하며 느껴보기를 바란다. 이것들이 무엇을 일으키는지 같이 이야기해보고 싶다. 실수를 답습하고, 약속을 미루고, 결심을 번복하는 우리 취약한 신체들과 함께. - P279
그러면서 나는 유럽의 강도에 대해 말해주었다. 유럽에서 강도를 만나 골목으로 끌려가서, 노머니, 노 머니. 라고 말했더니 강도가 뒷주머니에서 꼬깃꼬깃한 종이를 꺼냈는데 거기에 ‘복대 내놔‘라고 쓰여 있었다는 얘기였다.이모는 웃긴지 한참을 복대 내놔,복대 내놔 하면서 웃었다. - P35
나쁘지 않다는 말은 정말 나빴다. 완벽히 나쁘지도 못하기때문에 더 나빴다. 언젠가 P가 했던 말을 알리스는 떠올렸다.그때 P의 목소리에 담긴 슬픔과 분노에 대해서, 어떤 촌스러운 슬픔은 분노로 표현된다는 것을 알리스는 이해하고 싶지않았으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그 말이 P를 지나 윤정을 거쳐 구해영에게 이르는 과정에 대해 생각했다. 나쁘지 않은 건 아주 나빠, 정말이지 아주아주 나쁘다고, 일상적인 가학은 친절과 배려의 옷을 입고 온다고 알리스는 생각했다. 농담으로 위장한 상냥한 폭력에 대해 알리스는 알고 있었다. 알고 싶지 않은데 알게 된 것들이었다. - P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