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이매지 > 굴레 안에서
-
-
화차
미야베 미유키 지음, 박영난 옮김 / 시아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한동안 좋은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절판의 아픔을 겪어서 독자들과 만날 수 없었던 작품들이 대거 재출간되는 행운을 누렸다. 하지만 아직도 묻혀져있는 절판된 좋은 작품들이 많으니 미야베 미유키의 <인생을 훔친 여자(혹은 화차)>도 그런 작품 가운데 하나다. 사실 나는 미야베 미유키라는 작가를 알게 된 지도 얼마 되지 않았고, 그녀의 작품이라곤 <이유>만 읽어봤다. 하지만 그 책 한 권만으로 그녀는 나를 사로잡았고 절판된 이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다보게끔 만들었다.
내가 전에 읽었던 <이유>에서는 부동산 경매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면 이 책에서는 개인파산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한참 시끄러운 문제로 떠오르는 이슈라 시간차가 좀 나는 작품임에도 그렇게 거리감이 들지는 않았다. 신용카드의 남발, 사채, 돌려막기 등. 우리가 한 번쯤은 매체를 통해 접해본 내용들이 바로 이 책의 소재이다.
사건의 발단은 휴직 중인 경찰 혼마에게 아내의 먼 친척 가즈야가 찾아와 사라진 약혼자인 세키네 쇼코를 찾아달라는 것으로 시작된다. 하지만 혼마는 세키네 쇼코를 찾으면서 그녀가 사실은 다른 사람의 삶을 훔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혼마는 가즈야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지만 그는 화를 내며 손을 뗀다. 하지만 혼마는 뭔가 알 수 없는 이유때문에 차마 손을 떼지 못하고 계속 그녀의 뒤를 쫓는다. 그녀의 삶, 그녀가 다른 사람의 삶을 빼앗아 살 수 밖에 없었던 절박한 상황, 그리고 빼앗긴 삶을 살았던 여자의 삶. 서로 다른 이름으로, 서로 다른 삶을 살았던 둘이지만 그들은 벗어날 수 없는 삶의 굴레에 갖혀 끝없이 끝없이 고통에 휩싸여 있을 뿐이다. 그리고 어쩌면 그런 지겹고 괴로운 삶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남의 인생이라도 훔칠 수밖에 없었을 것 같다는 동정이 가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이야기는 혼마가 세키네 쇼코의 삶을 살고 있는 여자의 뒤를 쫓는 것이다. 원래 세키네 쇼코의 삶이 어땠는지, 그녀가 어떤 여자였는지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녀의 삶을 빼앗아 살고 있는 신조 교코의 삶을 추적하고, 그녀가 어떤 여자였는지 조사한다. 단지 '행복해지고 싶었던' 두 여자의 삶. 이야기는 아직 할 이야기가 너무도 많이 남은 채로, 아니 어쩌면 이야기다운 이야기가 시작될 법한 지점에서 끝이 난다. 때문에 독자들은 더 궁금해할 수 있고, 작가는 독자에게 좀 더 강렬한 느낌을 줄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었다.
사회문제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너무 그 문제만을 파고들어 해설서가 된 것이 아니라 그런 문제 속에서 살고 있는 개개인이 '인간'에 대한 조망이 있었기에 잘 쓰여진 소설로 손색이 없는 느낌이었다. 평범한 개개인의 삶이기때문에, 우리가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소재들을 다루고 있기때문에, 더 섬뜩하고 더 무서운 이야기가 된 것 같다. 내게도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