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인문학 - 인간의식의 진화에서 꿈의 역할은 무엇인가
싯다르타 히베이루 지음, 조은아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식의 진화에서 꿈의 역할은 무엇인가”

인간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꿈을 꾸었을 것이다. 나도 또한 꿈을 자주 꾼다. 때로는 악몽으로인해 하루가 뒤숭숭 한 적이 있었고 길몽을 꾸어 복권을 산 적도 있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태몽이 무엇이냐며 눈을 반짝이며 물어보기도 한다. 꿈을 단순하게 생각하면 잠을 잘 때 꾼 영상이라고 치부할 수 있지만 우리는 꿈에 대해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 꿈은 인간의 삶 속에 작고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평소 꿈을 자주 꾸면서 해몽이나 꿈에 대한 분석에 관심을 가진 적이 있었다. 내가 꾼 꿈이 나의 어떤 내면을 반영하는지 혹은 미래의 일을 예지하는지 참 궁금했었다. 그런데 <꿈의 인문학>을 읽으면서 단순히 해몽을 넘어서 인류의 역사에서 꿈이 가지는 의미와 현대와 뇌 과학에서 꿈이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꿈의 인문학>은 싯다르타 히베이루 교수가 19년 동안 꿈과 수면에 대해 과학, 역사, 예술을 아우르며 집대성한 책이다. 싯다르타 히베이루는 심리상황에 따른 꿈이 여러 양상과 함께 인간의 내면과 의식 연구에서 꿈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과거의 꿈은 주로 미래에 대한 예언으로 여겨졌으나, 정신분석학이 발달하고 뇌과학 연구를 통해 인간의 무의식을 탐험하고 뇌와 의식을 탐구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되었다고 한다.



<꿈의 인문학>은 왜 우리가 꿈을 꾸는가로 시작해서 아주 오랜 옛날 네안데르탈인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꿈의 역할과 위상 그리고 꿈이 가진 가능성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어려운 용어들나 낯선 이름들로 인해 조금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읽을수록 흥미로운 지점들이 참 많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특히, 뇌과학이 발달하기 전에는 꿈은 신과 대화하는 통로 혹은 미래를 예언하는 도구로 쓰였다면 뇌과학이 발달한 후 인간에 대한 무의식을 연구하고 우리의 기억과 창조성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프로이트는 심적 표상의 바다에 무의식이라고 이름 붙이고 꿈을 무의식에 접근하기 위한 왕도라고 하였다. 꿈과 현실이 만들어내는 불협화음의 최극단에서 꿈과 정신질환의 관계가 빌접하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즉, 꿈에 대해 알면 그 사람의 무의식의 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예전부터 문제상황이 발생했을 때 꾸었던 꿈을 가지고 해결 방안을 찾는 경우를 보아왔는데, 티베트인들도 정신적 문제에 직면하면 꿈에서 수호신을 만나 답을 구한다고 한다.


에밀 뒤르켐은 조상들이 꿈을 통해 영혼이라는 관념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어떤 사람이 잠자는 동안 먼 곳에 있는 친구와 대화하는 자신을 본다면, 그는 친구 역시 두 개의 존재로 이루어지며 하나는 어딘가에서 자고 있고 다른 하나는 꿈에 나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경험을 반복함으로써 특정 조건에서 자기가 사는 몸을 떠나 이리저리 돌아다닐 힘을 가진 분신, 즉 또 다른 자아가 우리 각자에게 있다는 생각이 점차 발전한다. 꿈을 통해 인간은 사후 세계나 영혼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킨 것이다.

<꿈의 인문학>은 붓다, 장자, 요셉 등 꿈에 대한 상징성을 이야기하며 종교에서 꿈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가장 흥미롭게 읽은 부분은 12장 창조를 위한 수면과 자각몽 파트이다. 이 장은 기업가와 예술가, 과학자들이 가장 가치 있게 여기는 창조성이 어떻게 꿈과 연관이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예술가들이 창조적인 꿈을 통해 생각지도 못한 작품이 탄생되거나 문학에서도 작가와 시인들이 플롯의 시작과 전개, 해결을 위해 꿈에서 얻은 영감을 활용한다고 한다. 기업가도 마찬가지이다. 재봉틀의 바늘귀가 거꾸로 만들어지게 된 배경도 바로 꿈 속이었다. 자각몽은 꿈을 꿈꾸는 사람이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각몽에 들어가는 과정에 숙달되면 하고 싶은 거의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자각몽을 통해 우주 여행을 할 수 있고 운동선수라면 운동실력을 높힐 수 있다는 것이다.

책 읽으면서 예전에 보았던 '인셉션'이라는 영화가 기억났다. 타인의 꿈에 들어가 생각을 훔치는 특수 보안요원이 반대로 생각을 심는 인셉션 작전을 수행하는 이야기이다. 영화를 보면서 정말 흥미로운 소재이지만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꿈의 인문학>을 통해 꿈이 무의식의 세계와 연결이 되어있다면 인셉션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였다.


평소 인간의 의식과 정신세계, 꿈과 뇌과학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꿈의 인문학>을 재미있게 읽을 있을거라 생각하며 꼭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