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신부
루이지 구아르니에리 지음, 김효진 옮김 / 두드림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유대인 신부이듯 이책은 렘브란트의 동명의 그림을 책 표지로 하고있으며 내용 또한 그림과 관련되어 전개되고있다. 이 책이 흥미롭게 느껴졌던것 또한 렘브란트의 그림과의 연관성때문이었기에 호기심을 가지고 읽어나갔다.
이 책은 크레 두가지의 이야기를 담고있다.
현재의 사랑과 과거의 사랑.시간의 격차는 300여년.
300여년의 시차를 둔 두가지 사랑은 어딘가모르게 닮아있다.
먼저 현재의 사랑이야기
레베카 로페스 라 코스타와 주인공 나의 이야기이다. 아무가진것 없이 파리에 도착한 나는 허름한 숙소를 찾아 몸을 누인다. 소설을 완성하려는 목적으로 도착한 파리에서 우연히 만나게된 레베카에게 첫눈에 반한다. 그녀는 렘브란트의 그림을 연구하는중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림 "유대인신부"의 실제 주인공을 찾고 있다고 하는것이 맞을것이다. 레베카의 집에서 살게된 나는 레베카의 집착에 가까운 사랑을 받아들이지 못했고 결국 그녀 스스로 자살을 시도하게 만들고만다. 그렇게 그녀와의 관계를 끝내고 그녀의 집에서 나오게된 나는 실수로 그녀의 모든 연구자료가 든 책을 들고 나오고만다. 그리고 16년의 세월이 흘러 다시 파리를 찾은 나는 레베카를 찾아헤매고 끔찍한 현실과 만난다. 모든 연구자료를 잃고 만 레베카는 자포자기하게 되고 정신병원신세를 지고있다.나를 알아보지 못하는 레베카를 보며 어떤 말과 행동으로도 그녀의 사랑을 그리고 나의 행동의 용서를 구할수 없음을 알수있었다.
또하나의 사랑이야기.
아비게일 로페스 라 코스타와 파리디스의 이야기이다.
알수없는 병에 걸린 아비게일의 주치으로 만나게 된 두사람. 자신을 이해해주는 유일한 사람을 만난 아비게일은 파라디스를 사랑하게 된다.둘의 사랑을 당시에는 금지된 계급의 사랑이었지만  그녀는 죽어가면서도 그에대한 사랑을 놓지않는다. 파라디스는 그녀와의 사랑으로 모든것을 잃게 되었기에 그녀를 받아들일수 없었지만 결국은 그녀의 사랑을 받아들인다.
이 두번째의 사랑이야기는 바로 유대인신부의 주인공이라 여겨지는 인물의 이야기이지만 확실치는 않다.
여 주인공의 성이 같아 조금 이상했는데  레베카는 유대인신부의 주인공을 연구하며 집착에 빠지고 결국 자신의 조상이 그 주인공이라고 여기게 된 것이다.
그것은 사실일수도 또 아닐수도 있다. 그 비밀은 쉽사리 풀리지 않을것이다.
지금은 위대한 화가로  인정받지만 당시에는 가난과 싸우며 살았고 장례조차도 쓸쓸하기만 했던 렘브란트를 만나는것이 조금은 안타까운 책이었다. 그림의 주인공에게도 이런 열정적인 사랑이 존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책 표지를 다시한번 들여다보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