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긍정 철학 - 선악을 뛰어넘는 강인한 삶
헨리 해블룩 엘리스 지음, 최선임 옮김 / 지식여행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철학이라는 분야는 쉽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는 분야이기에 철학관련 책을 손에 들면 그닥 술술 읽혀지지가 않는다. 용어가 낯설기도 하고 전체적으로 딱딱한 느낌이 들기 때문인듯하다. 그럼에도 이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바로 철학자 니체에 관한 나의 조금은 편견같은 생각이 맞는것인지 알고싶었기 때문이다.
"니체"라는 이름을 듣고 떠오른 첫번째 이미지는 바로 어두움이었다. 왠지 어둡고 부정적인 느낌으로 나에게 자리잡은 니체.
철학자로서 니체의 명성을 들어 알지만 구체적으로 그의 철학사상을 접한적이 없기에 이책을 계기로 자세히 알고싶어졌다.
이책은 니체의 어린시절 성장과정과 니체의 철학이 성숙 완성되어가는 과정과 작가의 생각에 따른 니체척학의 세가지 부분을 나뉘어 이야기하고있다.
어린시절 니체는 고독을 좋아하는 아이였고 자제력이 강했다고한다. 커가면서도 역시 사람을 가까이하지는 않았지만 아름다운 풍경을 늘 찾아다녔다고 하니 예술에 관한 관심도 함께했던것 같다. 대학생이 되면서부터 자신의 철학적 근원을 찾으려 노력했고 이때 우연히 읽은 쇼펜하우어의 책 한권에 매료되어 오랜세월 쇼펜하우어가 니체의 인생에 많은 영향은 끼친다.
그리고 니체의 인생에 큰 여향을 주는 두번째 인물이 등장한다.
바로 음악가 바그너이다. 바그너의 음악을 듣고 전율을 느낀 니체는 그후 오랫동안 바그너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을 키워나가지만 바그너와의 우정도 무언가에 의해 금이가고 그렇게 그들은 멀어져갔다.
니체는 철학을 학문과 책에서 찾는 일반 근대 철학자들과 달리 철학을 삶 자체로 여겼으며 처음엔 종교에 관심이 없는듯 보였다가 그리스도에 거부 적의를 드러냈으며 안티크리스트로 불리우기에 이른다.
"상처를 통해 힘은 성장한다"는 니체의 좌우명에서도 알수있듯 니체는 종교에 의한것이 아니라 모두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수 있어야한다고 믿었다.
끊임없이 삶을 비평했던 니체는 결국은 미친다. 그렇다고 그의 사상이 미친것은 아니다.

예상대로 어려운 책이었다. 형광펜으로 메모를 해가며 보았지만 아직도 머리속이 복잡하다. 아마도 두어번은 읽어야 정리가 될듯하다. 일생을 바친 철학은 한번의 책읽기로 이해하려한 나의 생각이 잘못된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