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수학 범죄 수학 시리즈 1
리스 하스아우트 지음, 오혜정 옮김, 남호영 감수 / Gbrain(지브레인)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수학"이라는 단어는 참 많은 사람들을 괴롭혀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학교 생활중 수학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리라...
나 또한 그럴때가 있었고 다행인지 어느순간부터 수학이라는 과목에 거부감이 많이 들지 않았고 오히려 좋아하는 편이었다. 문제를 풀어내다보면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것에 즐거움을 느꼈던것 같다. 그렇게 12년간을 힘들게 공부한 수학을 정작 지금은 많이 활용하고 있지 않으니 좀 억울하단 생각이 들때도 있다.
아마도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렇듯 졸업후 사용되지도 않는것을 왜그리 열심히 해야하는지에 의문을 가질수도 있다.
최근들어 미국 드라마 넘버스를 재미있게 보면서 수학이 쓰여질수 있는 새로운 분야를 발견했는데 바로 범죄수사이다.
그 드라마를 보다보면 모든 사건 해결의 열쇠를 수학이 쥐고있는듯하다. 정말 알 수 없는 공식들이 가득한 칠판속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내는걸 보고 있노라면 감탄하지 않을수 없었다. 그 드라마를 보고난 후 접하게 된  "범죄수학".
이 책에는 모두 14가지의 범죄 사건이 나온다.
넘버스와 조금 다른점이 있다면 이 사건들에 적용되는 수학은 우리에게 많이 익숙한 것들이라는 것이다.
가장 많이 적용되는 확률이나 정말 단순한것 같은 일차방정식,그리고 순열과 같은 익숙한 용어들이 반갑기까지 하다. 여기에 거리=속력*시간 이라는 중학교 시절 참 많이 힘들어했던것 같은 공식이 나오는데 이렇게 간단한것을 왜그리 힘들어했는지 싶다. 아마도 단순히 외우려고만 해서 였던것 같다.
물론 이 책속에도 전혀 생소한 용어들이 나온다.
블리히펠트의 보조정리 라던가 민코프스키의 정리,부정적분 이런 용어들은 처음 들어본것 같은데 처음 들어본것인지 언젠가 한번은 들었던것인지조차 모르겠다.
책을 다 읽고나니 마치 수학문제집 한권을 풀고난듯한 느낌이다.
이책은 정확한 결론을 제시해주지 않는다.
독자로 하여금 읽으며 함께 수학을 눈으로라도 풀어 범인을 찾도록 유도하니 한눈을 절대 팔수 없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