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영만과 열 세 남자, 집 나가면 생고생 그래도 나간다 - 웃자고 한 일에 죽자고 덤빈 우리 바닷길 3000km 일주 탐나는 캠핑 3
허영만.송철웅 지음 / 가디언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바닷길 3000킬로미터.
경기도 전곡항을 시작으로 독도까지의 거리다.
만화가 허영만을 선장으로 13명의 친구들이 모여 시작된 항해. 술자리에서 시작된 바닷길 백두대간 항해는 요트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시작되었다.
요트의 이름은 "집단가출호" 너무 재미있는요트이 이름에 웃음이 터져나왔고 책을 읽는 동안 책 사이사이 허영만 화백의 만화에 웃지 않을수 없었다.
언뜻 요트하면 굉장히 멋져보인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텔레비젼 드라마나 영화속에 나오는 요트와 달리 이들의 요트 항해는 전혀 낭만적이지 않았고 오히려 제목 그대로 생고생 그 자체였다.
그럼에도 이런 고생을 참고 견디게 만든것은 아마도 우리에게 너무나 상징적인 독도를 향한 열정이었으리라...
"독도"라는 단어에 애국심이 생겨나지 않는 사람은 많지 않을것이다.
이들의 항해는 1년이란 시간동안 계속된다. 전곡항을 출발해서 독도까지를 한번에 항해한것이 아니라 모두 열두차례의 항해로 나누어 조금씩 조금씩 독도를 향해 나아간다.
도중에 허영만선장은 아파 입원을 하기도 했고 사정으로 중간중간 항해 선원이 달라지기도 하고 또한 새로운 선원들이 들어오기도 한다.
이들은 결코 편안한 여행을 떠난것이 아니었다. 어쩌면 출발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힘든 항해였을것이다. 너무 수심이 낮은곳으로 요트가 들어가 움직이지 못하기도 했고 갑작스런 폭우에 위험한 고비를 넘기기도 했고 비박을 하며 모기떼에 몸서리치기도 했다. 이렇게 항해가  거듭되면서 출발당시의 어설픈 선원들은 사라지고 노련한 항해사들이 되어가고 있었다.
제주에서는 요트 대항 경기에서 이겨 한치 한상자를 얻기도 했으니 대단하지 않은가?
책을 보다보면 글 사이사이 항해사진들이 나오는데 우리 나라 곳곳의 아름다운 경관들이 잘 나와있다. 제주 올레길이 유명해지면서 이들은 바다에서 올레길을 만들고 있었다.
참 힘든 여정을 거쳐 독도에 도착했으나 독도를 쉽사리 이들을 받아주지 않았다. 험한 바다상태로 독도를 바라보고 돌아와야 했다.
그렇지만 독도를 향한 그들의 여정은 참으로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