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 - 독서의 즐거움
정제원 지음 / 베이직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란 제목의 책을 읽기전  조금은 딱딱한 제목이 책읽기에 부담이 되기도 했다. 아무래도 편안하고 가벼운 제목의 책에 손이 선뜻가곤 하는 습관때문일것이다. 하지만 "독서의 즐거움"이란 부제에 책을 읽어봐야겠다는 마음이 들었고 책읽기를 마치고 책장을 덮으면서 앞으로 제목에 먼저 눈이 가는 나의 독서습관을 바꿀 필요가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세개의 부분으로 나위어 모두 30권의책을 소개하고 그 책을 접하는 독서법을 설명하는 이 책은 나에게 즐거움 그 자체였다. 이미 읽어본 책도 있었지만 내가 읽은 느낌과 다른 느낌으로 소개되었기에 다시 읽고싶어졌고 다른 책들 중에서도 꼭 읽어보고 싶은 책들이 눈에 들어왔다. 3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기준은 첫째 "나는 누구인가?-독서가 나를 찾아 떠나는 무한의 시간여행이라는 의미"이며 둘째"지식을 어떻게 확장하는가-교양과 배경지식을 쌓는 독서법"이며 마지막"작가는 누구인가-진정한 책읽기의 즐거움은 바로 작가와의 만남"이라는 의미이다.

이책은 책읽기의 즐거움을 느낄수 있도록 독자들에게 효울적인 독서법을 많이 소개하고 있는데 이중 "같은 번역자의 책을 읽으라"를 통해 번역이라는 것이 단지 다른나라말로 씌어진 글을 우리나라 말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또다른 창작임을 느낄수 일ㅆ었다.<장미의 이름으로>를 번역한 이윤기씨는 번역의 오류를 지적한 다른 교수의 글을 읽고 개정판을 내면서 오류를 지적한분께 감사의 인사를 잊지 않았다고 하니 이를 보면 번역을 오래했음에도 번역이 얼마나 쉽지 않은 일인지 알수있다.나도 가끔 책을 읽으며 익숙한 번역가의 이름을 만나면 반가움이 드는데 이제 단순한 반가움이 아니라 감사를 표하고프다.

<책속의 책을 읽는다>라는 방법은 나도 많이 쓰는 방법중 하나인데 이 책에서도 언급한 장영희 교수의 "문학의 숲을 거닐다"라는 책을 읽으며 책 자체에도 많은 즐거움을 느꼈고 그로인해 그속에 소개된 책들에도 자연스레 관심을 두게 되었다.

,<계절이 바뀔때마다 과학서나 시집을 한권씩 읽자>라는 의견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나만해도 과학서는 어렵다는 편견에 선뜻 손이 안가책을 편식하고 있으니 이렇듯 스스로에게 규칙을 세워둔다면 우연찮은 보물을 발견하게 될수도 있고 새로운 분야에 흥미를 느낄수도 있으니 말이다.

"독서의 즐거움"이란 제목답게 즐거운 책일기였다.누구나 한번쯤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과 더불어 책장을 덮으며 다음 읽고 싶은 책의 목록이 머릿속에 정리되어 마음이 좀 바빠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