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투 런 Born to Run - 신비의 원시부족이 가르쳐준 행복의 비밀
크리스토퍼 맥두걸 지음, 민영진 옮김 / 페이퍼로드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정확히 언제 달리기를 했었는지 기억이 잘 안난만큼 달리기와 멀어진채 살고 있는것 같다. 중고등학교 체력장에서 의무적으로 해야만했던 오래달리기가 800미터 였던것 같은데 그당시 800미터를 완주하기가 어찌나 힘들었던지 지쳐 쓰러져있던 기억밖에 나지 않는다.
그런 나에게 이 책은 놀라움 그 자체였다.
이 책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나온다. 직업도 나이도 인종도 다양하다. 이들을 하나로 묶는 공통점은 바로 달리기에 대한 열정이다. 장거리달리기 예찬론자인 이들에게 마라톤의 42.195km는 코스에 들수도 없다. 연습삼아 뛰는 거리가 그 정도이며 이들은 마라톤코스와 갘은 평이하고 정형화된 코스를 달리지 않는다. 우리에게 익스트림 스포츠로 알려진 그런 지형들을 선호하며 두려움을 가지기 보다는 도전정신으로 무장되어있다.
멕시코 원주민인 타라우마족은 사는곳도 찾기어려울만큼 숨겨진 지형에 산다. 위장된 집은 찾기도 힘들고 찾는다 하여도 그들의 경계를 풀고 만나기는 더더욱 힘들다. 이들은 이방인을 피해 살지만 초장거리 달리기를 즐겨 이곳 저곳에 불쑥불쑥 나타나기도 한다. 이들이 바로 사슴을 달리기로 잡을수 있다는 종족이다. 이들은 단시간에 사슴을 잡는것이 아니라 사슴이 지쳐 쓰러질때까지 끈질기게 쫓아간다. 험한 지형도 아무리 먼 거리도 그들에게는 즐거운 달리기일뿐이다.
이 책의 저자인 맥두걸은 타라우마족을 만나기위해 타라우마족의 친구인 카바요 블랑코를 찾아내었고 카바요 블랑코와 타라우마족그리고 여러 울트라 마라톤 영웅들의 마라톤경주를 함께한다.
초장거리를 달리는 이들의 대부분은 맨발이거나 아주 얇은 샌들을 신는다. 우리 상식으로서는 이해가 가질 않는일이다. 좀더 좋은 운동화를 만들려는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들은 그 노력을 비웃는다. 운동화는 달리는 발의 통증을 더할뿐이라고.달리기도중 다리가 아프거나 부상을 입는것은 바로 운동화때문이라고... 처음엔 믿기 어려웠다. 하지만 책을 읽고난후 난 한번쯤 맨발로 달려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인간은 달리기위해 태어났다. 그렇다. 원시시대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은 운동화를 신으면서 달리기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아무것도 신지않은체 달리려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우리 인간의 본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것이다.
지금부터 달리기 시작하면 60살쯤엔 웃으며 달리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