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쇼크 - 부모들이 몰랐던 아이들에 대한 새로운 생각 자녀 양육 시리즈 1
애쉴리 메리먼 외 지음, 이주혜 옮김 / 물푸레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이제 돌지난 아이를 둔 엄마가 되면서부터 가장 신경쓰이는 것은 무엇보다 아이를 어떻게하면 제대로 잘 키우는가이다. 물론 여러가지 정보가 넘쳐나고 있지만 무엇이 옳은 것인지 판단은 여전히 내 몫이기에 이 책의 광고문구를 보는 순간 읽고 싶다는 욕구가 생겼으며 또한 1년밖에 엄마로서의 역할을 하진 않았지만 그간 내가 해온것이 잘못된것은 아닐까한느 걱정이 앞서기도했다.
이 책은 모두 열가지 주제를 가지고 우리가 기존에 알고있던 생각과 아주 많이 다른 관점을 이야기하고있다. 간혹 완전히 반대의 생각이기도 하다.
그 첫번째가 칭찬의 역효과이다.칭찬이 역효과를 낸다니? 얼마전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책이 베스트셀러를 기록했던 기억이 난다. 읽어보지는않았지만 제목만으로도 칭찬이 얼마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지 짐작할수 있었다. 하지만 이 택은 무조건적인 칭찬은 아이로하여금 도전과 모험을 할 의지를 꺾는다고 말하고있다. 아이의 지능을 칭찬하다보면 아이가 실수하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기를 포기하게 된다는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칭찬이 필요할까? 바로 공허한 칭찬이 아닌 진실에 기초한 구체적인 칭찬이 필요하다는것이다. 칭찬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는 만병통치약이 될수 없음을 아고 1년동안 딸에게 해준 칭찬을 돌아보게된다.
두번째 놀라웠던것은 "수면시간의 중요성"이다. "잃어버린 시간"이란 부제로 설명이 되어있는데 한시간의 수면부족이 인지성숙과 발달면에서 자그만치 2년치의 손실과 맞먹는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정말 놀라울 따름이다. 미국 고등학교에 적용시킨 예를 통해 고등학교 등교시간을 1시간 늦춤으로서 학생들의 성취욕구향상과 우울정도가 낮아졌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비만과도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는데 학년이 놓아질수록 우리의 아이들의 수면시간은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업으니 걱정이 앞선다.
아이가 아직 어리기에 유아용 비디오의 영향을 설명한 부분이 흥미를 끌었다. 유아용 비디오를 시청한 유아가 어휘력이 훨씬 낮다고한다. 이 대목에서 아직까지 비디오를 보여주지 않았음에 조금 안도했따. 어려서부터 외국어에 노출시키기위해 많은 부모가 노력을 하는데 아가들의 신경이 제 1언어에 집중되는 현상이 오히려 어휘력 발달에 좋다고한다. 유아가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비디오와같은 추상적 이미지와 오디오가 아닌 반드시 살아있는 인간의 말이 필요한것이다. 또한 무조건 많은 말보다는 아이의 관심에 반응을 보여주는것이 중요하다고한다.
책을 읽으며 아이가 크기전에 이 책을 접할수 있어서 참 다행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모든것을  다 완벽히 적용시키지는 못할지라도 한가지 한가지 생각하며 아이를 키울수 있고 또 실천해볼수 있는 기회가 생긴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