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파스타 - 이탈리아에서 훔쳐 온 진짜 파스타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파스타를 좋아한다. 가끔 낮에 점심으로 후다닥 만들어먹기도 한다. 인스턴트 토마토소스에 약간의 야채를 넣은 것이 전부이지만. 내가 아는 파스타소스는 토마토,미트 그리고 크림소스가 전부이다. 일반적으로 파스타 전문점에가도 그 이상의 파스타소스를 보지는 못한것 같은데 이 책을 읽고 난 후 지금까지 내가 알던 것은 파스타의 아주 작은 한 부분이었다는것을 알게되었다. 아무래도 이탈리아 음식인지라 위나라로 건너와 요리화되면서 많은것이 달라지긴 했으리라 짐작했는데 내가 먹던것이 그 수백 수천가지가 되는 파스타중 단 한두가지라니 좀 놀랍기도 하다.
스파게티는 파스타의 면종류중 하나이다. 보통 우리가 즐겨먹는 것이 기다란 면발의 스파게티이고 파스타는 건조와 프레시 긴것과 짧은것으로 나뉘어 진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파스타의 핵심은 무엇일까? 우리의 밥맛을 좌우하는것이 쌀과 물분량이라면 파스타의 핵심은 좋은물과 좋은 달걀과 좋은 밀가루다. 이탈리아 밀가루와 우리 음식을 만들기위해 가공된 밀가루가 같은 수 없으니 우리나라산 밀가루로는 이탈리아산 파스타가 나올수 없게된다.아무리해도 비슷한 맛이 나올뿐이라는 얘기다.
인도에 가면 카렐ㄹ 이탈리아에 가면 파스타를 먹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현지의 맛에 적을하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 책에도 이탈리아 파스타를 맛본 여행객의 한마디가 나온다." 너무 짜지않냐? 소스가 너무 적은데..." 그곳에선 우리나라에서 먹듯 소스를 가득 넣어 먹는것이 아니라 묻혀먹는 수준이라니 차이가 나기난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형마트에 가면 몇가지 종류의 파스타를 만날수 있다. 언제나 기다란 스파게티 면을 선택하고 말긴 하지만 말이다. 이탈리아에느 동네슈퍼마켓에서 100여종류,파스타회사에가면 300~400여종류의 파스타를 볼수 있다고 하니 거기다 소스의 종류와 건조냐 프레시냐에 따라 수만가지의 파스타가 나올수 있다니 놀랄수 밖에 없는 숫자다.
우리는 당연히 파스타와 곁들여 피클을 먹는다. 하지만 이탈리아 어느 식당에서도 파스타 곁에 피클이 딸려 나오지 않는단다. 어느 파스타집 벽에 NO.피클이라고 써있다니 얼마나 많은 외국인들이 피클을 찾는지 알수있다. 비단 우리나라 사람뿐은 아닐것이다.
이책을 읽다보면 수많은 파스타의 그림과 레시피에 푹 빠져들 수 밖에없다. 마음속으로 주말에 이중 하나를 시도해 보아야지 하는데 잘될런지 모르겠다.파스타를 알아가는 책으로 또한 요리책으로도 즐거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