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0년간 능력주의적 가정은 민주 사회의 공적 삶에 한층 더 파고들었다. 심지어 불평등이 거침없이 확산되는데도, 공적 문화는‘각자 알아서 운명을 책임져라‘, ‘스스로 초래한 운명을 받아들여라‘는식으로 바뀌어 버렸다. 이는 마치 세계화의 승자들이 스스로에게 또다른 모두에게 납득시키려는 말처럼 들린다. 말하자면 최고의 자리에 올라앉은 사람과 바닥에 떨어진 사람은 그럴 만해서 그럴 수밖에 없다는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들이 그들에게 맞는 땅으로 떨어지도록하기 위해 불공정한 장애물을 치워야 할 것이다. 주류 중도우파와 중도좌파 정당들 사이에서 최근 수십 년간 벌어진 정치 논쟁은 주로 기회의평등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떻게 실현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이 저마다의 노력과 재능으로 사회적 상승을 실현할수 있게 하자는 것이었다.
- P1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 수십 년 동안의 폭발적인 불평등 증가는 사회적 상승을 가속화 시킨 게 아니라, 정반대로 상류층이 그 지위를 대물림해줄 힘만 키워주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어디에 발을 들여놓느냐에 의해다 훨씬 많은 것이 결정되는 세상이다.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이비 팜
조앤 라모스 지음, 김희용 옮김 / 창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 이야기가 아닌 곧 한국사회에서도 대두될 대리모 이야기. 인종과 부의 차별 문제도 피할 수 없음을 알린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끼자 2021-11-02 0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리모.....오오.....읽어봄직한 책이네요!!
 
인류를 식량 위기에서 구할 음식의 모험가들
아만다 리틀 지음, 고호관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곳에서는 인구 소멸을 걱정하고, 또 다른 곳에서는 많아지는 인구를 감당할 식량을 걱정한다. 세계는 기후변화까지 까지 겪으며 식량의 위기를 피할 수 없을 것 같다. 식량위기에 대응하는 인간들의 고군분투.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끼자 2021-10-23 1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 이거 재밋겠어요 선배님!! 저도 꼭 읽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