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16가지 꽃 이야기 - 계절마다 피는 평범한 꽃들로 엮어낸 찬란한 인간의 역사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4
캐시어 바디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정의 달 5월은 행사가 많아서 꽃을 찾게 되고

지금 봄꽃들이 한창 피어 있어서 길거리 꽃에도 눈이 가더라고요. 꽃과 세계사라 어떤 관계가 있을까 무척 궁금했어요. 꽃은 인간의 역사에서 많이 연관되어 있지만 여러 꽃들이 내가 알지 못했던 세계사와 어떤 에피소드가 숨겨져 있을까 하나씩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어요.

순전히 꽃을 빼앗으려고 일으킨 전쟁있다고?

그리고 영화 <<코코>>에서 '죽은 자의 날' 행사에 사용된 꽃은? 무엇일까..

계절마다 피는 평범한 꽃들로 엮어낸

찬란한 인간의 역사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볼 수 있는 각각 4가지 꽃들에 대한 이야기가 들어있어요.

봄/ 데이지, 수선화, 백화, 카네이션

여름/ 장미, 연꽃, 목화, 해바라기

가을/ 샤프란, 국화, 메리골드, 양귀비

겨울/ 제비꽃, 제라늄, 스노드롭, 아몬드

제라늄이 겨울꽃이었나? 부모님댁에 아주 진한 붉은색의 제라늄이 피어서 여쭤보니 특별히 때가 없는 것 같았는데 말이죠. 지금은 흔히 구할 수 있는 꽃이지만 몇백 년 전만해도 아주 귀하고 이국적인 식물이어서 부유한 수집가들이 애지중지 했다고 해요. 비나 서리를 맞지 않게 하려고 비싼 온실까지 지었다고 해요. 그럼 여름인줄 알고 꽃을 피웠다고 하네요.

로버트 퍼버의 [열두 달 꽃들] 중앙의 주홍색 제라늄

18세기 여성들에게 꽃은 단순한 장식품보단 여성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논쟁에서 중심을 차지했어요.

제라늄이 당시에 음란한 꽃으로 해석되었다고 하네요. 꽃잎이 겹쳐 있는 형태가 선정적으로 보여서라고 하는데.. 꽃 하나에도 해석하기 나름이었던 것 같아요.

식물식물이 인가의 상처받음 마음을 진정시키고 위로함은 분명한 것 같아요. 온실정원의 난방 장치 기술이 늘었고 온실에서 땀을 열심히 닦는 모습은 '겨울의 건강한 삶'을 보여준다는 이미지가 강했어요.

많은 작가들이 묘사한 양귀비 꽃.

양귀비는 온갖 물건에 비유되는데요. 모네 같은 인상주의 화가들도 '빛을 뿜어낸다'라고 할 정도로 양귀비 특성에 매료되었어요. 가끔 길거리에서 보는 관상용 양귀비를 볼 때면 꽤 예쁘다는 생각을 하곤 했거든요.

개양귀비는 생명력이 강한 닷에 전쟁 후의 삶을 나타내는 강렬한 상징이 되었어요.

프랭크 바움이 쓴 동화 <오즈의 마법사>에서도 양귀비에 관한 내용이 있는데요. 도로시와 도로시의 강아지 토토가 붉은색 양귀비밭에서 자극적인 향기에 잠에 빠져요. 겁쟁이 사자가 용감하게 도로시를 구하려고 하지만 양귀비 향기가 강해 저항할 수 없어요. 향기를 맡지 못하는 허수아비와 양철 나무꾼이 도로시를 구출해낸다는 내용이 있는데요. 실제로는 냄새맡는 정도로는 잠들지 않는다고 하네요.

1920년 미국 재향군인회는 양귀비로 죽은 병사를 추모하자고 했고 여러 나라에서 전사자를 추모하는 상징으로 양귀비를 사용했어요. 몇 세기에 걸쳐 꽃 자체가 부상한 군인들의 고통을 덜어주고, 양귀비 유액으로 만든 진통제는 매우 효과적이었어요. 1만 제곱미터의 양귀비밭에서 1년에 12킬로그램의 아팬을 만들어내는데요. 현재 아편을 가장많이 생산하는 곳은 아프가니스탄이라고 해요. '영웅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의미로 '헤로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더라고요. 19세기 말 아랍상인들이 아편을 중국으로 가져가면서 아편전쟁까지 일어나죠.

각종 꽃들과 관련해 세계 각국의 다양한 역사와 여러 분야에서 꽃이 어떻게 인간의 삶에 함께 했는지 알 수 있었어요. 시대에 따라 하나의 의미가 아니라 언제나 상대적이라는 것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