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다른 사람들 - 인간의 차이를 만드는 정서 유형의 6가지 차원
리처드 J. 데이비드슨 & 샤론 베글리 지음, 곽윤정 옮김 / 알키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서 얼마나 많은 새로운 단어를 접했는지 모르겠다. 그만큼 어려운 분야였지만, 흥미로웠다.

내가 느끼는 감정으로 인해 우리 몸에 변화가 일어나고 뇌에 전달을 해주는 과정에 대해 거의 상세하게 나와있다.

물론 그렇기에 읽는 내내 한숨이 많이 나왔다.(새로운 용어가 자꾸만 등장해서...)

나름 자신하고 있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그보다 더 파고들었다는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수를 좋게 주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저자가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이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예전에 심리학책을 싫어할 즈음에는 너무 자기말만 옳다고 말하는 저자가 진짜 싫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괜찮은 책을 읽기 전에는 항상 편견에 휩싸인다. '이것도 자기 주장만 옳다고 하다가 끝나는거 아니야?'

하지만 이 책은 그러한 걱정을 휙 날려버리게 해준다. 물론 대다수가 선호하는 유형(이 책에서 이야기 하는 유형들 중)은 분명히 있다. 그러나 어떤것이 좋다고 단정짓지 않고 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면 보완하는 방향으로 나가라고 조언을 해준다. 현실적인 조언이고 마음에 와닿는 조언을 해주기에 좋은 책이다.!!

 

"정서 유형을 잣대로 삼아 판단해서는 안 된다. 가령, 누군가가 사회적 직관차원에서 보다 민감해질 필요가 있다거나 부주의하기에 더욱 주의집중해야 한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다만 스스로 생각하기에 당신의 정서 유형이 당시늬 일상을 억압하고 행복을 방해한다고 여겨질 때, 또 그 정서 유형이 생의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고 당신에게 고통을 가져온다고 생각될 때만 정서 유형을 바꾸고자 노력하면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유용한 정보가 많이 있다. 그 좋은 정보를 나누고 싶어 지인에게 알려주기 까지 했다.(어렴풋이 알고는 있었으나 그냥 던져 놓는 말이 아닌 증거를 제시하며 이야기한 책을 읽은 적은 없었기 때문에...)

그 중에 한가지를 이야기하자면 이것이다.

"누군가와 수다를 떨 때 상대방의 눈 근육을 유심히 살펴보라. 그 사람이 웃을 때 눈가의 잔주름이 생기지 않는다면 그것은 진정한 웃음이 아니고 단지 예의상 짓는 미소일 뿐이다.

(중략)

눈 주변의 근육은 의지를 따르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진정한 감정에 의해서만 작동한다."

 

"태어날 때부터 앞이 보이지 않았던 손가락의 촉감을 이용해서 책을 읽어나가는 경험을 하면, 운동피질과 감각피질이 발달되고 관련 영역이 활발하게 활성화 된다."

이것을 통해 뇌는 계속 변화하며, 점점 한쪽을 발달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내용을 시작으로 재활치료를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접목시켜 실험을 해보았던 것도 인상깊었다. 처음과 중후반에서 언급되었던 손가락으로 피아노를 치는것과 손가락으로 피아노를 치는것을 상상하는 것이 뇌에 비슷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 또한 신기하게 와닿았다. 이런것을 이용해 뇌를 좀 더 좋게 변화하고 발달시켜 나갈 수 있다는걸 깨달은 것 같아 나에게 한줄기 빛과 같은 내용이 되기도 했다. (사실 뇌가 절대 변할리는 없다고 생각해서 홀로 좌절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에게는 특히나 좋은 내용이었다.)

 

이 책을 읽고나면 여러 편의 뇌, 심리학, 호르몬 에 대한 논문을 여러편 읽은 기분이다. 또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명상까지...

물론 밑줄을 그어가며, 미간에 내 천 자를 그리며 심각하게 읽어나갔던 책이지만 무척이나 재미있었다.

우리가 많이들 알고있는 심리테스트같은것은 앞에 몇장에 불과하다. 또한 특징별로 나누어서 알려주고 있는 것보다 숲을 보여주려고 하는 듯하다. 전체 숲을 통해서 배경지식을 쌓고, 마지막에 각틍징별로 보완할수 있는 방법을 정말 짧게 알려준 내용에서 나무를 하나씩 보면 될 것 같다. 사실 그 부분 외의 내용은 대부분이 숲을 보는데 필요한 내용이지만, 그 내용들이 특징별 보완방법보다 좀 더 유익하고 생활에 도움이 되는것 같다.

읽고나면 무척이나 뿌듯한 책이라 추천을 하고 싶으나, 약간의 두통(새로운 단어들로인한)이 오기 때문에 큰 마음을 먹고 읽기 시작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