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공부하는 첫 프로그래밍 with 파이썬 - 1:1 과외하듯 배우는 프로그래밍 자습서, 개정판 혼자 공부하는 시리즈
문현일 지음 / 한빛미디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빛미디어에서 만드는 혼공시리즈는 유명하다. 이전에 <혼공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 딥러닝>을 무척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있었기 때문에 마치 교양서적처럼 <혼자 공부하는 첫 프로그래밍>이라는 책자를 열었다. 역시 기대만큼 너무 잘 편집된 읽기 좋은 책이었다.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천! 모듈러 설계
나카야마 사토시 지음, 박정규 외 옮김 / 한경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요타 출신의 엔지니어가 적은 책으로 예제를 중심으로 모듈러 설계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어 가장 실무적으로 참고하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I 사고를 위한 인공지능 랩
한선관 외 지음 / 성안당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IBM의 어린이용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하여 알기 쉽게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어 강차한다. 역시 선생님들이 적은 인공지능 책이라 누구나 알기 쉽게 잘 편집이 되어 있다. 인공지능을 처음 하는 사람 뿐만 아니라 중급자도 보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유익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공산당 평전 - 알려지지 않은 별, 역사가 된 사람들
최백순 지음 / 서해문집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삼 이승만 대통령에게 감사 드린다. 대한민국을 공산국가가 아닌 자유민주 국가로 만들어 주신 은인, 이승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노즈쿠리 - 제조업 세계 최강, 일본의 제조혼
후지모토 다카히로 지음, 박정규 옮김 / 월간조선사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일본 제조업의 본질을 알기 위해서는 일본인 스스로가 일본 제조업을 가르키는 용어인 모노즈쿠리를 이해해야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일본의 제조업이 미국 다른 유럽 제조업과 과연 무엇이 다르며, 다름이 일본의 제조업을 얼마나 강하게 만들 있었던것인가를 보여 있기 때문이다. 책의 저자인 일본 도쿄대학 경제학과의 후지모토 다카히로(藤本隆宏)교수는 일본 기술경영론, 모노즈쿠리론의 제1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일본 모노즈쿠리론을 이 책에서 밝히고 있다.

 

먼저 후지모토 교수의 모노즈쿠리론은 독특하여, 세상의 모든 제품은 설계정보가 매체상에 녹아 들어가는것이라 파악하고 있다. , 자동차의 바디(車體)는 설계 사상이 금형에 들어가서 매칠인 철판속에 구현된것이라고 파악한다. 따라서, 종래의 제품생산론자들이 주로 다루고 있는 제품(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의 흐름에 한정되지 않고, 매질 속에 어떻게 설계사상이 구현되는가, 또 설계사상의 본질적인 차이에 따라서, 제품을 구별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아키첵처(설계사상)이라 정의하고 산업구분을 새로이 하고 있다.

 

이책에서 아키텍처(설계사상)에 기반하여 크게 제품을 통합형산업과 모듈형 산업으로 구분하였다. 통합형 산업이란, 하나의 부품이 여러가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분야를 말하며, 자동차 같은 제품이 대표적이라고 하면, 모듈형 산업이란, 각각의 부품이 서로간의 인터페이스만을 표준화시켜 만들기만 하면, 아무나도 쉽게 조립해서 만들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 이와 같은 모든 산업을 이와 같은 아키텍쳐(설계사상)이라는 잣대를 가지고 구분을 하면, 종래의 산업 구분법과 다른 형태로 제조업을 바라 볼 수 있고, 이 속에서 저자는 일본의 산업을 유독 통합형 산업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일본의 독특한 고용형태인 종신고용, 다기능공, 부품회사간의 지속적인 관계형성등을 통해 현장의 통합력에 강점을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은 시스템 구상력에 근거한 모듈형 산업, 한국은 자본과 의사결정의 집중력을 근거로 하는 모듈형 산업에 강한경향을 보이고 있고, 중국 또한 한국적인 산업형태와 비슷한 노동력을 근거로한 모듈형산업에 강점을 보이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의 산업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관계로, 한국이 일본처럼 통합형 산업역량을 확보할것인가, 아니면 지금과 같은 산업형태로 중국과 경쟁을 할것인가 귀로에 놓여 있다고 저자는 보고 있다.

 

 

저자는 세계최고의 제품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는 일본 기업의 수익율이 높지 않은 점을 빗대어, “강한 공장, 약한 본사라고 표현하였으며, 이 문제점을 극명하게 보여준 실례가 닛산이라고 하였다. 애시당초 닛산의 생산성은 세계최고의 수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90년대 언론들은 재무재표상의 수익만을 보고, 비관적인 견해를 나타내며, 마치 일본 제조업전체가 더 이상 경쟁력이 없다고까지 말하였다. 하지만, 이는 결코 제조 현장의 데이터나 관찰결과에 나온것이 아니며, 여전히 잃어버린 10년이라고 하는 90년대에 있어서도 일본 제조업의 제품생산성은 세계최고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렇게 수익이 떨어지는 근거로 저자는 본사의 기획력, 구상력이 부족하였기 때문이라 파악하였다. 그렇기에 닛산의 카를로스 곤이 라는 걸출한 경영자가 닛산을 지휘하자,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강한 현장에 강한 본사기능이 합쳐져 놓은 이익을 올리게 된것이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머리를 사용하여 강한 기획력, 구상력을 가지고 높은 수익을 내고 있는 미국기업을  본받기 위해, 일본기업의 고유장점을 잊어버려서는 안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일본의 제조업은 일본인이 거친 역사속에서 형성된것(Path Dependent)이기에 일본 제조업의 특성인 통합형산업에 강한 장점을 유지하면서, 걸출한 기획력을 보이는 프로듀서가 나오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고, 이를 위한 모노즈쿠리 교육을 기획하며 실시하고 있다.

 

 

이책을 읽으면, 잃어 버린 10년간 일본 기업이 얼마나 혁신의 고빼를 놓치지 않고, 절차탁마해 왔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일본 경영자들은 후지모토의 이 저서를 바이블처럼 옆에 끼고 읽고 또 읽었다. 일본 제조업의 전략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도쿄대학 후지모토교수는 전략론의 기본은 지피지기(知彼知己) 라고 하였다. 그렇다면,21세기 일본과 제조업에서 숙명의 대결을 벌여야 하는 한국 기업은 이 책을 읽고 또 읽어야 하지 않을까.

 

역자 박정규 적음
 
 
 
 
 

<저자>

후지모토 다카히로(藤本隆宏)

1955도쿄 출생. 도쿄대학 경제학과 졸업. 미쓰비시 종합연구소를 거쳐, 하버드대학 비즈니스스스쿨 박사과정 수료(D.B.A). 현재 도쿄대학 대학원 경제연구과 교수 겸 모노즈쿠리경영센터장, 하버드대학비즈니스스쿨 상급연구원. 전공: 기술관리론,생산관리론,

저서: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일본어판, 《 제품개발력》 다이아몬드社), 《생산시스템의 진화론》(有斐閣), The Evolution of a Manufacturing System at Toyota, Oxford University Press, Management Text 생산매니지먼트 입문》(2, 일본경제신문사), 《능력구축경쟁》(中公新書, 한국어판 《TOYOTA 진화능력,가산출판사 》)

 

 

<역자>

박정규

1968년 부산 출생.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졸업.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 석사. 졸업 후 기아자동차 중앙기술연구소(소음진동의 실험 및 해석 담당) 근무. 1998년 일본 유학, 일본 교토대학 정밀공학과 박사(진동제어 연구). 일본 교토대학 조수(Assistant Professor) 역임. 미국 미시간대학(앤아버)에서 MEMS(마이크로 전자기계시스템) 연구. LG 전자 생산기술원 책임연구원.

 

 

 목차

 

1장 현장발 ‘제품생산론(모노즈쿠리론)

      1)1990년대의 일본 제조업 논의-되풀이되는 과잉반응

      2)기존의 산업분류를 일단 잊자

      3)아키텍처라는 안경으로 본다

      4)아키텍처와 조직 능력의 궁합

 

2장 강한공장.강한본사로 가는 길

      1)닛산 부활의 의미

      2)제조(모노즈쿠리) 기업의 실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3)자동차를 통해 본 생산(모노즈쿠리) 퍼포먼스의 실태

      4)IT 거품경제의 교훈

      5)강한공장? 약한본사 증후군

      6)강한 현장과 강한 본사를 양립시켜라

3장 제품생산(모노즈쿠리)의 조직능력-도요타

      1)도요타의 제품생산 방식에서 배운다

      2)도요타 생산 시스템의 경쟁력과 수익성

  

4장 궁합이 맞는 아키텍처로 승부하라

     1)아키텍처는 무엇인가

     2)기본 형태는 ‘인테그럴형’ ‘모듈형’ ‘오픈형’ ‘ 클로즈형’

     3)아키텍처의 산업론-몇 개의 사례

 

5장 아키텍처의 산업지정학

     1)조직 능력은 역사가 만든다-일본과 미국 비교

     2)아키텍처의 비교 우위론

 

6장 중국과의 전략적인 거래법

      1)중국 제품생산의 다양성

      2)중국적인 승리패턴-환골탈태

      3)승용차의 아키텍처도 환골탈태할 수 있는가?

      4)중국에서 성공하는 아키텍처 전략이란

 

7장 제품생산 능력을 이익에

      1)아키텍처의 양면전략

      2)미국 자동차 메이커의 트럭 전략

      3)아키텍처의 위치 선정 전략

 

8장 제조업국가인 일본의 진로

      1)여기까지의 정리-제조업 전략의 재론

      2)새로운 능력구축을 향해서-우선은 조직 만들기를

      3)일본의 우량 기업에서 배워라

      4)도요타의 위기의식에 배운다

      5)기간공의 다기능공화는 가능한가

      6)IT와 ‘통합형 제품 개발’간의 매칭

      7)깊은 곳에서의 브랜드 구축

      8)선행 개발-일본의 데스 밸리

      9)‘아키텍처의 비교 우위’ 재론

    10)프로듀서여 나타나소서

    11)선두주자 방식의 산업정책

    12)문리융합의 제조업 교육(모노즈쿠리교육)

    13)‘조율형 산업 대국’ 일본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