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행복하기 위해서 세상에 왔지 - 내 인생에 주어진 단 한 가지 의무
이지현 외 지음 / 내가그린기린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주 행복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행복하다고 말하며, 또 자주 행복에 대해 생각한다. 사실은 내가 지금 겪는 모든 현실적인 크고 작은 역경들은 종국에 행복하고자 거쳐가는 것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행복'은 인생에 엄청 중요한 주제임이 틀림없는데, 비교적 우리의 화두에 자주 오르지는 못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친구들과 이런 저런 별의별 이야기는 다 해도 정작 '행복'에 대한 이야기는 낯부끄럽다고 미루고 미뤄둔 주제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행복'이란 단어가 참 익숙하면서도 멀게 느껴진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더욱 빠져들었다. 사실 이 책 속의 9명의 작가들은 다들 참 다른 인생을 살았지만 그들의 생각 속에는 '어쩜 이렇게 나랑 똑같은 생각을 했지!' 하는 부분도 꽤나 있었다.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살았던 적은 없지만, 나를 위해 돈을 써도 행복은 잠깐이었다. 누군가에게 선물을 받아도 그때뿐이었다. 행복은 마실수록 갈증 나는 바닷물 같았다. 목마름을 채우는 길은 하나, 욕망을 멈추는 것이었다.

특히 요즘 순간의 행복, 소소한 행복 등 단순한 종류의 만족감을 지향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것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오히려 요즘 그것에 미쳐 산다,, 밤에 마시는 맥주, 인형 베고 넷플릭스 보기, 여유롭게 커피 마시기 등등 소모적인 행위에서 느끼는 만족감을 매우 추구하는 편).

여전히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만족시키는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행복하다고 착각했다.

기분 좋은 느낌을 위해 더 열심히 '자극'을 찾았다.

그러나 그런 일련의 행위들의 기쁨은 순간적이다 책의 말을 인용하면 그 감정들은 감가상각된다. 그럼 그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 더 큰 자극을 찾게 되고 책에서는 이 악순환을 마실수록 갈증 나는 바닷물 같다고 했다. 나의 모든 소비 행위와 오직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서 한 행위들에 대한 적당한 지적이었다.

사람들의 욕망과 욕구를 자극하는 콘텐츠들은 조회 수를 낚기 위해 자극적인 제목을 미끼로 삼는다. 그들은 대리만족을 통해 순간적인 해소를 느끼지만, 곧 자괴감을 동반한 무기력에 빠지기 쉽다. 점점 자기도 모르게 만성적인 행복 결핍증 환자가 되어가는 것이다.

사람들은 이제 스스로 만족감을 주는 행위를 하는 것에 한계를 느끼고는 대리 만족을 느끼기 위한 콘텐츠를 소비하기 시작했다. 나도 최근에 '인마이백' '언박싱' 영상에 빠져서 습관적으로 영상들을 찾아 보았는데, 그렇게 무엇인가에 대한 결핍을 끊임없이 인지하고 욕망하는 게 스스로에게 이롭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깨닫기도 했다.

행복은 감가상각된다. 그러나 여기에 전제가 있다. 완벽한 만족감만이 행복이라고 생각하면 그렇다.

행복=완벽한 만족의 상태. 라고 정의하게 된다면 행복의 정의와, 행복을 느끼기 위한 행위는 비교적 단순해지겠지만 그 모든 과정의 반복은 바닷물을 계속 마시는 행위와 같을 것이라고 본다. 행복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정의를 (아직은 못 내렸지만)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조만간 친구들이랑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