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 상 - 조선의 왕 이야기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박문국 지음 / 소라주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학창시절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졌지만 단편적인 부분들만 기억이 난다. 그래도 역사는 좋아하는 분야라 역사 다큐를 좋아한다. 하지만 사극은 거의 보지 않았다. 역사에 대한 지식도 주지만 극적인 효과를 위해 재미를 위한 연출이 가미되어 허구적인 부분들도 많기 때문이다. 즉 정사와 야사가 뒤범벅 되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아빠가 되고 다시 역사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에게 역사만큼은 재미있게 들려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요즘 영화와 사극드라마를 통해 조선의 역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나 또한 얼마전 종영한 징비록을 통해 조선시대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임진왜란 앞뒤의 역사를 중심으로 궁금증을 풀어가고 있었다.  지금까지 역사는 기본적인 주요 왕의 업적이나 당대의 중요한 사항들만 기억되는데  이 책은 태조 이성계를 시작으로  14대 선조까지 큰 흐름을 이해하게 도와주고 그 시대에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풀어내어 조선시대 역사를 더 가깝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저자는 카카오 스토리 역사부문 1위 채널인 [5분 한국사 이야기]운영자이다. 사료와 고증에 기반을 둔 역사이야기로 많은 구독자가 팬이 되어 있었다. 나도 이 책을 통해 소식을 듣고 있다. 저자는 역사를 알아가는 가장 좋은 방법은 총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한다. 흐름은 이야기를 통해 잘 이해된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느낌으로 책을 써서 그런지 역사를 접하는 독자 입장에서 참 재밌다라는 마음을 갖게 한다.

단편적인 이야기가 아닌 순서대로 읽어가니 매듭을 풀어가는 느낌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이전의 역사를 보면 이해가 된다. 단편적으로 역사를 이해했을때 알지 못했던 이야기들, 내가 알지 못했던 왕의 이야기들이 참 흥미로웠다.

도덕적이고 충의로 가득한 정몽주가 사실은 무시무시한 정치력을 가지고 있었던 인물로 고문을 통해 정적들을 살해할 음모를 꾸미고 이성계의 권력 기반을 밑에서부터 무너뜨리려 했었고, 왕자의 난을 일으킨 이방원이 바로 왕이 되지 않고 아버지 태조에 대한 방패 막이로 형을 왕으로 세운 것. 이방원의 형이자 조선 2대 왕인 정종이 대중매체에서는 유약한 이미지로 그려지지만 사실은 아버지와 함께 전장에서 수많은 공을 세웠고 무인에 어울리는 당당한 체구를 가졌다고,,,,

세종때 이미 출산휴가가? 세종은 관노들을 대상으로  출산휴가를 장려했다고 한다. 여자 관노의 경우 출산시 1주일의 휴가가 원래 있었는데 세종은 100일로 늘렸고 남편도 부인을 돌볼 수 있도록 한달을 쉬게 해줬다고 하니 역시 세종대왕..!!

국민을 위해 훈민정음도 창제한 세종이니만큼 후세에도 애민의 군주로 이름이 높지만 정부의 역량 부족인 화폐개혁을 통해 조선의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기도 했다고 한다. 시장경제의 흐름을 이해하지 못한 세종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고 한다. 

이렇듯 순서대로 읽어가니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이해가 된다. 단편적으로 역사를 이해했을때 알지 못했던 이야기들, 내가 알지 못했던 왕의 이야기들이 참 흥미로웠다.

 ​

왕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지는지 참 궁금했는데 설명이 잘 되어 있다. 종과 조로 끝나는 왕의 이름을 묘호라고 하는데 군주가 죽은 이후 조상께 제사를 지내며 이름을 붙인다고 한다. 왕의 창시자에게는 '조'를 덕이 있는 왕에게는 '종'을왠만하면 거의 종을 부여했고 폭군인 연산군에게는 묘호가 부여되지 않았다고 한다.​ 궁금했던 왕의 이름에 대해 잘 알 수 있었다.

이야기 식으로 쓰여진 역사책이라 재미있게 조선역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하권이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