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 두뇌 - 마흔부터 시작하는 기적의 두뇌 습관
하세가와 요시야 지음, 조해선 옮김 / 북라이프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치매 환자를 진료하는

신경내과 및 치매 전문의

하세가와 요시야

이 책의 저자는

28년간 수많은 환자를 보면서

사례를 토대로 터득한

뇌 건강 노하우를 펴냈다.

 

평균 수명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65세 이상의 인구 중에서 7명 중

2명은 치매 환자이거나 치매 예비군이다.

2107년에는 선진국 절반이

100세 이상을 사는데

100세 시대에 행복하게 장수하려면

뇌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가 마흔부터 두뇌 관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이다.

 

우선 두뇌 건강을 위한

세 가지 원칙부터 알아보자

1, 뇌의 작업기억 활용하기

작업기억의 기능이란?

정보를 이용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정보에 우선순위를 정한 다음 처리하는 것

특히 기억 끄집어 내기(아웃풋) 반복,

메모를 남겨 생각 정리!!

2, 건강한 신체를 만드는 운동법과 식습관으로

건강한 몸만들기

3, 인간관계나 IT 기기를 활용한 뇌 구축으로

외부환경 조성

 

감정을 표현하면서 말하면

편도핵이 자극되어 장기 기억에

저장이 된다고 한다.

저자는 가족회의를 통해

감정을 소리 내어 말함으로

뇌에 기억을 잘 시킬 수 있다고 한다.

가족회의를 할 때 참고가 되겠다.

 

치매를 유발하는 식습관으로는

맥주나 아이스커피 같은 찬 음료를 꼽는다.

찬 음료는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고혈압, 당뇨, 고지혈 같은 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을 높인다고 한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치매를 부르니

식습관도 잘 조절해야 한다.

 

인풋보다 중요한 아웃풋

작업기억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를 받아들이기보다는

출력하는 것이 중요한데

독서를 할 때도 항상 다른 사람에게

말하거나 글로 적을 때 활성화된다고 한다.

그렇게 꺼냈을 때 의미 있는 부분은

해마를 통해 장기 기억으로 저장한다.

메타 인지학습과 같은 이론이다.

 

기억을 떠올리는 장치로

A4 독서법을 추천하는데

1, 읽은 날짜, 장소, 날씨

2, 업무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

3, 인상적인 문구

4, 신선한 표현

5, 읽으면서 떠오른 의문

 

이렇게 정리해 놓으면

기억의 갈고리가 만들어져

읽은 책의 내용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고 한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도

노화를 예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데

근력운동이라고 해서

울퉁불퉁한 근육이 아니라

지구력을 키우는 정도의 빠른 걷기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면 근력까지 함께

좋아질 수 있다.

 

노화가 진행되면

몸의 균형능력이 저하되는데

한발 서기 운동으로

근력뿐 아니라 균형능력까지

좋아질 수 있게 추천한다.

몸을 움직이면 뇌는 젊어진다.

 

건강한 두뇌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가득하다.

무리하지 않게 내 몸에 습관화 시켜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