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공정무역, 왜 필요할까? 내인생의책 세더잘 시리즈 1
아드리안 쿠퍼 지음, 전국사회교사모임 옮김, 박창순 감수 / 내인생의책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더잘 시리즈내인생의 책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편견에 싸인 세계 흐름에 대해서 보다 더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자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을 줄여서 세더잘 시리즈를 기획하였다고 합니다. 시리즈는 아직 진행중이지만 세상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길러주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 첫번째  이야기로  [공정무역,왜 필요할까?]를 펼쳐 보았습니다.
공정 무역이란? 생산지와 소비자가 서로 이익을 보장하고 존중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는 무역 거래 방식을 말합니다.
고정무역 생산자는 세계의 가난한 ㅈ역에서 찾아 볼 수 있고 공정무역의 협력자가 된다는 것은 그들의 노동에 대한 공정한 가격을 보장한다는 뜻이랍니다.(p101)
생협과 아름다운 가게를 통해 구입하던 설탕,커피,초콜릿등이 떠올랐다.
가난한 나라의 아이들이 학교도 가지 못하고 생산하는 많은 생산물들이 정당한 댓가를 받지 못한다는 것이 마음에 걸려 
공정무역상품을 구입하고 아이들에게도 알려주었었다.
하지만 공정무역이 단순히 어려운 나라의 생산자를 돕는다라는 의미만 있는 걸까? 궁금했던 여러 질문들과 함께
세더잘[공정무역,왜 필요할까?] 읽었다.
돈을 지니고 슈퍼나 마트에 가면 우리 주변에서 생산한 물건부터 지구 저편에서 생산한 많은 상품들이 우리를 맞이 한다.
그럼 언제부터 그렇게 된 걸까요?  또 어떤 방법으로 생산되고 많은 상품을 생산하는 사람들은 모두 부자일까요?
우리 부모님들이 받는 월급처럼 그들도 월급을 받아 우리처럼 살고 있는지? 지구 곳곳의 무역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이아몬드는 사랑이나 호화로움의 상징이지만 '분쟁의 다이아몬드'는불법으로 다이아몬드를 거래하고 반국가집단들이 무기를 사는 곳에 비용이 들어간다고 한다.모든 휴대폰에 들어가는 전자기판의 재료인 콜탄의 경우도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끝없는 내전비용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더불어 자연생태계의 파괴로 고릴라들의 수도 현저히 줄어들고 수 많은 생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지금 지구는 나라별로 활발한 무역을 통해 교류하고 있지만 가난하고 경제가 어려운 나라들은 다국적 기업들의  생산지로  공장 노동자들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기도 한다. 노동자들에게  공정한 임금을 지급하고 생산현장을 개선해 주도록 우린 소비자의 입장에서 도와야한다. 
공정무역 운동은 '기존의 불공정한 국제 무역에서 노동자들이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라는 인식을 많은 사람들에게 심어왔다. 비록 공정무역상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하룻밤 사이에 가난한 나라의 수준을 부자나라의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는 없다.(p109)하지만 세계여러 나라와 무역기구들에게 불공정한 무역의 문제를 더욱 신경쓰도록 압력을 넣을수는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많은 어린이들의 관심이 물건을 구입하고 주변의 전달을 통해 윤리적인 소비자로 자라다면 무역을 통한 공정한 이익배분이 이루어지고 더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지는 지구가 되면 좋겠다.

책의 곳곳에 무역과 관련된 단체와 협약이 정리가 잘 되어있다.
뒷부분 한 눈에 보는 무역의 역사/ 공정무역관련 단체의 홈페이지등이 실려있다.책을 읽고 방문해 보아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