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보다 빠른 꼬부기 - 제1회 대한민국 문학 & 영화 콘텐츠 대전 동화 부문 당선작 살림어린이 숲 창작 동화 (살림 5.6학년 창작 동화) 3
이병승 지음, 최정인 그림 / 살림어린이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 안에서 5학년 딸아이는 큰소리로 꼬부기를 읽어 주었다.

너무 재미있고 마음이 짠하다며.....,

그렇게 꼬부기 천둥이를 만났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공부도 잘하고 사회에 나아가 적응도 잘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하는 아이로 자라게 도와 주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자신을 사랑하는 일에 미숙한 부모가 많아 아이들도 주변의 친구와 비교를 하고 스스로 작게 만드는 지도 모른다.

꼬부기~

책을 다 읽고도 꼬부기가 무슨 말인지 몰랐다.

아이가 답답해 하며 포켓몬스터에 나오는 캐릭터라고 알려주었다.

꼬부기정도는 아니지만 상당히 느리고 자신만의 시계가 존재하는

아이를 키우다 보니 꼬부기와의 만남이 그리 즐겁지만은 않았다.

오히려 아빠의 마음이 공감이 되었다.

먼저 책을 읽은 아이는 아빠의 '경고장'에 으악~했다.

[시간을 정복해야 성공한다]

물론 맞는 말이다. 더구나 학년이 올라 갈 수록 더욱 그렇다.

꼬부기도 시간정복은 아니더라도

빨라지려고 애는 쓰지만 마음먹은데로 되지는 않는다.

퀵 비스를 하는 아주 빠른 아빠와 정말 느린 우리의 꼬부기,천둥이

천둥이는 아빠 앞에서는 늘 작아지고 긴장한다.

천둥이 아빠의 모습에 늘 빨리를 외치는 나의 모습도 겹쳐 보였다.

 

아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꼬부기처럼 느린 아이는

놀림감이 되기도 하고 친구들과 어울리기 어렵기도 한다.

느린아이의 겉모습과 행동만으로 아이는 다른 친구들과 쉽게 동화되지 못한다.

자신이 느린 것도 남이 느리고 다른 것도

다 이유가 있음을 작가는 꼬부기와 미루를 통해 보여준다.

 

"미루야,내 말은 느리고 빠른 건 중요한게 아니라는 거야.문제는 부모님 마음에 드는 아이가 되려고 노력하는 게 아니라,내가 내 마음에 드는 아이가 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거야."(p197)

 

작가의 바램처럼 많은 아이들이 '빛보다 빠른 꼬부기'를 통해

자신만의 속도가 있음을 깨닫고

자신을 더욱 사랑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