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무도 격호무 - 싸움에서 꼭 이기는 무술
김갑진 지음 / 학민사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현직 경찰관이 '싸움의 비법'을 전수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광주경찰청 특공대에서 작전반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갑진 경장(39)이 최근 '싸움에서 꼭 이기는 무술-생존무도 격호무(擊虎武)'를 발간했다.

김 경장은 자신의 다양한 무술 대련과 길거리 싸움을 통해 얻은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격호무를 창안했다.

격호무는 호랑이처럼 빈틈을 노려 필살기를 날리는 무술이라는 뜻으로 저자는 다양한 공격과 방어법을 인체 역학적으로 이론화했다. 김 경장은 실전에서는 박치기나 눈 찌르기, 물어뜯기 등 간단한 공격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며 다양한 공격법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납치상황을 예로 들고 "범인의 팔뚝이나 손가락을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로 힘껏 물어뜯어야 한다. 좀 얻어맞더라도 절대 포기하지 말고 살점이 떨어져 나갈 정도로 악착같이 물어뜯어야 자신의 안위를 지킬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단, 물어뜯기에도 인체 부위별로 효과가 천차만별인 만큼 숙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목을 물어뜯으면 죽음에 이를 수 있고, 어깨근육을 물면 그 쪽 팔 전체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코나 귀, 옆구리를 공략하면 생명에 지장은 없으나 큰 고통을 전해 준다고 저자는 설명하고 있다. 낭심이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물어뜯으면 장애인이 될 수도 있으니 상황에 따라 잘 대처해야 한다.

김 경장은 "물어뜯기가 다소 폼이 안 나는 문제는 있지만 수련법으로 호흡을 병행하면 효과가 극대화 된다"며 "숨을 들이 마실 때는 콧구멍을 통해 '어엉' 소리를 내며, 내쉴 때는 '앙' 소리를 냄과 동시에 위 아랫니를 꽉 깨문다. 이런 소리를 내는 것은 동물적인 본성을 일깨우기 위함이다"고 코믹하게 설명했다.

또 김 경장은 여성들에게 효과적인 따귀 때리기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여성들이 따귀를 때릴 때 스피드가 대단히 빠르지만 질량(파워)이 적기 때문에 큰 충격을 주지 못한다며 타격 순간에만 질량을 넣고 힘을 빼야 한다. 이는 '힘뺌-타격 바로 직전에 힘줌-타격과 동시에 힘뺌'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 긴박한 상황에서는 동전이나 열쇠, 볼펜, 핸드폰, 돌멩이 등도 싸움의 도구나 호신용 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김 경장은 싸움에 필요한 근육 만들기와 신체 단련법은 물론 다양한 상황에 따른 실전기술 및 불리한 상황 극복하기도 사례별로 정리했다.

격호무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경찰 입문 전 김 경장의 다양한 싸움 사례는 양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김 경장은 싸움의 기술을 전하면서도 '삽십육계 줄행랑'이 최선의 방법임을 강조하고 있다.

김 경장은 "요즘 강력범죄가 많아 사회적 약자인 여성이나 노약자들의 피해가 많다"며 "이들이 쉽게 배워 활용할 수 있는 무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격호무를 창안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공중돌기나 덤블링 등의 화려한 무술은 오래 수련해야 하고 실전에서 여성들이 사용하기도 힘들다"며 "위기의 순간에 살아남을 수 있는 무술이 진정한 무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절을 기차게 잘하는 법 - 불교수행의 길잡이 1
청견 지음 / 붓다의마을 / 2000년 11월
평점 :
품절


금강지혜보궁 소리산 법왕정사 부처님 성지... 나무 서가모니불 서가모니불 서가모니불 서가모니불.... 불교에 대한 용어를 처음 떠올리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첫번째로 '절'이라는 단어를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전국 어느절에 가더라도 '절'하는 방법을 이토록 과학적이고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책은 없을 것이다. 초발심자 시절 절하는 방법을 몰라 당황했던 것을 떠올리면 지 금도 얼굴이 달아 오른다. '절수행'만 500만배 하신 청견스님께서 이러한 불자들의 소망을 담아 편찬하신 아주 귀중한 책이다.

'절'하는 방법을 아주 세세히 친절하게 설명해 놓은 책으로 잘배워 매일 108배만 하더라도 부처님 앞에 공덕짓고, 운동량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건강과 비만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귀중한 수행법 해설서이다. 시간이 있다면 직접 '청견스님'도 뵙고 두시간에 걸친 실습을 통하여 호흡에 맞춰 절하는 방법도 배울 수 있다. 조금 익숙해지면 108배도 해보고, 매월 마지막주에 실시하는 삼천배 수행에도 동참해 볼 일이다.

본인은 매일 108배 수행을 실천하고 있으며, 삼천배 수행도 몇번 동참해봐서 '절수행'의 진수를 체득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궁금하신 것이 있으면 직접 연락을 해보시면 된다.

* 법왕정사 : 031) 771-7745
* 철야정진 안내
- 매월 둘째주 토요일 19:00 - 일요일 07:00
('절'하는 방법, 염불 및 금강경 독경법, 도인체조 교육)
- 3333배 철야정진 : 매월 마지막주 토요일 19:00 - 일요일
07: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닦는 마음 밝은 마음
김재웅 지음 / 용화 / 1993년 3월
평점 :
품절


인터넷을 검색하다 '금강경독송회'와 김재웅 법사님을 알게 되었다. 백성욱 박사님을 모시고 '일대사인연'을 깨치기 위해 노력하신 법사님의 수행과정이 재가불자 여러분의 수행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구체적인 마음씀의 과정이 구구절절히 마음을 찌른다. 몸뚱이 착과 아상에 물들어 일희일비하며 살아가는 중생들이 깨달음의 언덕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적시되어있다.

'마음 닦는 것은 옳지 않은 습성이 배어 죄를 짓는 자신의 내면적인 문제점을 고치는 것이다'라고 말씀하시는 법사님. 금강경을 읽는 방법, 부처님전에 공경심을 바치는 방법..... 재가 불자라면 꼭 한번 필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