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과 밤, 하늘의 신비를 찾아서 - 사진과 함께 즐기는 경이로운 천체의 향연
헬가 판 루어.호버트 실링 지음, 이성한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낮과밤 하늘의 신비를 찾아서>

책은 제목 그대로 우리가 항상 눈으로 보고,

예뻐서 사진을 찍어 추억으로 남기는

지구과학, 하늘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해 준다

천체관측을 해본 적이 있나요?

어렸을적 망원경으로

바다를 바라본 적은 있지만

천체 망원경으로

하늘을 바라본 경험은 없답니다 ㅋㅋ

평소 운이 좋으면 보이던 무지개,

우리가 사는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오로라,

예쁜 밤하늘을 보아도 잘 모르겠는 별자리 ㅠㅠ,

개기일식, 슈퍼문..

평소 보지못하는 아름다운 사진들과 함께

읽어볼 수 있으니 너무나 좋았다

야곱의 사다리

성서에 나오는 야곱의 사다리는

부챗살빛의 변종이라고 한다

야곱이 죽음이라는 불안 속에 도망치면서

잠을 자다가 하늘까지 닿는 사다리를

천사들이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는 모습을

꿈에서 보게 된다

구름층 뒤에 숨어있는 태양의 빛줄기가

구름 아래로만 비친 모양은

무대의 스포트라이트 같이,

구름층의 엷은 부분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런 빛줄기가 나오게 된다고 한다

이 때의 하늘, 예상 날씨도 알려주며

(건조하고, 구름이 두껍지 않고

한 곳에 뭉쳐있지 않아 강수확률이 매우 낮다)

평범한 나도, 이제는

기상 예측도 가능해질 수 있겠다

사막

광공해가 없는 드렆은 산꼭대기에서

별과 아름다운 풍경을

바라보고 싶은 적이 있다

하지만 내 눈으로 높은 고도에서 보면

산소가 희박해,

망막의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둔감해져

기대 만큼의 예쁜 풍경을

보지 못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높은 장소에서 바라보기 보단,

광공해로 부터 멀리떨어진

산소도 충분한 사막에서의 별이

아름답다고 한다

라틴어 구름 이름

나라마나 언어권마다

구름이름을 다르게 부른다

하지만 국제 통용되는 이름은 모두

라틴어 명칭이라고 한다

자연적으로 생긴 구름 뿐아니라

인간에 의해 생겨나는 구름들도 함께

설명해주고 있어 특이했는데

여기서 사람이 만들어낸 구름은

인간이라는 뜻의 호모와

발생의 뜻을 가진 게니투스를 합쳐

호모게니투스라고 하며,

산불이나 화재로 구름이 만들어지면

불을 뜻하는 플람마,

발생의 뜻인 게니투스를 붙여

플람마게니투스라고 한다

네덜란드의 기상학자이자 기상캐스터인

저자 헬가 판 루어와

네덜란드 천문학자이면서

천문학 다수의 책을 써,

대중화에 큰 공로를 인정받아, 상과 함께

2007년 소행성 하나

자신의 이름을 따 지었다고 알려져있는

저자 호버트 실링.

학교 지구과학시간에 배웠던 내용들에 대한

기억을 되짚어보며

원인과 현상, 기상예측도 해볼 수 있으니

책을 읽고 난 후,

길을 가다 하늘을 보면

'어? 이건, 봉우리적운,

콜리플라워 구름이니

조만간 소나기가 올 수 있겠다'

기상예측과 함께,

책 내용이 다시 생각나리라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