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레벨 업 - 제25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대상작(고학년) 창비아동문고 317
윤영주 지음, 안성호 그림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다 읽고 난 지금의 나는 계속해서 판타지아와 선우, 그리고 원지를, 나아가 진짜로 사는 게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사실 나는 동화 곳곳에 묘사된 미래 세계를 보며 살짝 무서움을 느꼈다. 이러다 정말 모든 걸 인공지능으로 대체하게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쉽게 떨칠 수 없었다. 한편으론 지금 내가 쓰는 물건들과 유사한 지점이 꽤 많이 보여서 동화 속 미래가 멀지 않았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다.

선우가 판타지아에 더욱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범호의 괴롭힘 때문이다. 범호는 선우네 집이 경제적으로 넉넉한 걸 알고 일부러 접근한 뒤 지속적으로 돈을 빼앗는다. 생각해 보니까 범호도 열세 살이다. 동화 속에서도 그렇고 현실에서도 어린아이들이 비겁한 행동을 하는 걸 볼 때면 더 나은 어른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른은 아이의 거울이라는 말이 문득 떠올랐던 부분이었다.

최근에 나는 동물의 숲이란 게임을 하면서 차라리 동물의 숲에 사는 주민이고 싶다는 생각을 잠깐 했었다. 마치 판타지아에서 사는 원지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곳은 내가 사는 이 세계처럼 비가 내리지도 않고, 내 힘으로 무언가를 해결할 수도 없고, 예상하지 못한 일에 놀랄 수도 없다. (동물의 숲이나 판타지아에도 비가 오고 눈이 오고 다 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가상 현실일 뿐이니까) 그럼에도 종종 드는 위와 같은 생각을 버릴 수가 없다. 그냥 동물의 숲에서 평생 정원을 가꾸는 게 더 행복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걸 사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내가 사는 것이라고 믿으면 그만인 것일까? 마지막 레벨 업은 계속해서 이러한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

  운전대를 놓고 가만히 앉아 있고만 싶었던 적이 많다. 하지만 이제는 잡아 보고 싶어졌다. 사고가 날 수도 있고, 운이 좋지 않으면 죽을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모든 불안은 곧 설렘이기 때문에, 나는 불안함 대신 설렘으로 마음을 바꾼 뒤 나의 힘으로 운전대를 잡아 앞으로 나아가고 싶다.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동화이지만 연령대가 중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SF를 좋아하는 사람, 동화를 좋아하는 사람,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노인 등 다양한 사람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책이다.

아저씨. 아저씨가 운전대를 손으로 직접 잡는 이유는, 무언가를 손수 움직여 보고 싶어서잖아요. 무엇이든 자기 힘으로 시도해 볼 수 있어서잖아요. 원지도 그래요. 원지는 자기 인생의 운전대를 자기 손으로 잡고 싶은 거예요. 원지는 자기가 선택한 모험을 후회하지 않을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