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한국경제 대전망
이근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경제가 어렵다고 한다. 성장률은 낮춰지고, 고용지표는 최저이며, 수출은 몇몇 기업을 제외하고는 사상최악의 실적으로 주식시장도 급격히 빠지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경제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으며, 주변국과의 경제 환경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그 궁금함에 “2019 한국경제 대전망을 펼쳤다.

책은 34명의 각 경제 분야 전문가들이 그들이 맡은 파트에 다양한 성장률, 국제 수지, 물가, 실업률, 국가정책 등의 통계와 뉴스로 들면서 1년 후 미래의 경제를 우리나라를 넘어서 국제 경제와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많은 국가들을 분석하고 있다.

해방과 전쟁을 거쳐 50년 가까이를 높은 성장률을 지속한 나라는 드믈 것이다.

그 나라인 한국이 3%를 밑도는 성장률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지만 훨씬 오랫동안 저성장을 이어온 주변 경제 대국인 일본, 독일, 미국 등의 경제를 가늠하면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닐지 모른다.

“2019 한국경제 대전망7개의 파트로 나눠서 1편에는 미국의 경제정책, 일본의 통화 정책, 중국경제, 영국과 유럽의 경제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한국경제에 대해서 짚어준다.

파트 2로 접어들면 트럼프 시대의 신보호주의에서 그 권위주의와 맞서는 중국가의 관계에서 파장되는 경제 리스크와 그에 미치는 한국경제를 분석한다.

파트 3에서는 한국의 노동, 복지, 소득 불평등 등을 짚어가며 한국의 지속적인 혁신 성장과 그와 맞물려갈 수 있는 복지국가의 모델에 대해서 설명한다.

파트 4에서는 현재 화해의 무드에 접어들었지만 많은 변수와 기회 그리고 위험의 문 앞에 서있는 북한과의 경제 교류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파트 5에서는 성장의 그늘에 가려졌던 가계 부채, 부동산 문제, 노사관계와 정의 대기업 경영 체질에 대한 정책에 대해서 설파한다.

파트 6에서는 IT 세계를 지향하는 산업 혁신에서 불어오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디지털 시대의 핵심 가치, 한국의 주류 산업 중 하나였던 자동차 시장과 성장가도를 달려가고 있는 반도체 산업에 대해서 분석한다.

마지막 파트에서는 현제 우리나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경제와 금융 그리고 스타드 업을 바라보고 그 이후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베트남과 인도를 설명하며 이야기를 마친다.

한국에서 경제를 대표하는 교수부터 무역, 통상, 해외경제, 공유경제, 보건, 복지, 노동, 화폐 등의 연구원과 회사 대표까지 역자로 참여하여 이야기를 설파한다.

400페이지 가까이 되는 적지 않은 두께의 책이지만 “2019 한국경제 대전망를 읽으며, 많은 것을 배우고 느끼며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역시 자신에게 미지의 세계를 그 분야 전문가를 통해서 읽어나가는 방법은 시야를 키우는 제일 좋은 방법이 아닐까?

이러한 분석이 경제를 넘어서 다양한 분야로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