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은이는 무지개떡 건축은 도시에서의 삶의 조건을 담고 있으면서도 마을공동체적 가치를 구현해낼 수 있다고 말한다. 상업지구와 주거공간이 분리시키지 않는 수직적인 건축을 통해 동네 어귀 정자에서 시작해 마을회관, 가게, 학교, 우체국, 체육시설,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들을 수평으로 배열될 수 없으니 기존 아파트 구조를 이용해 수직적으로 무지개떡 건축에 재구성하면 된다는 것이다. 건축물에 공공적 성격의 공간이 섞여 들어가면서 동네 사람들과의 소통도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