맡겨진 소녀
클레어 키건 지음, 허진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과 희극을 나누는 기준은 고귀한 사람들을 다루느냐, 평범하고 잡스런 사람들을 다루느냐로 나뉜다. 고귀한 사람들이 몰락하는 이야기인지 잡스런 사람들이 우당탕탕 법석을 떨다가 제자리로 돌아가는 이야기인지가 비극과 희극을 가른다.

본질적으로 이 분류는 관객(독자)이 이야기 속의 중심 등장인물을 연민하게 만드느냐, 비웃게 만드느냐의 방법론일 뿐이다.

범주를 만드는 행위는 항상 범주에 포섭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을 만든다. 희비극이라는 용어가 봉준호의 <기생충> 이후에 여기저기서 들려왔었던 때가 있었다. 이건 비극인가 희극인가? 블랙코미디라는 장르명으로 포섭할 수 없는 감상이 ‘희비극‘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었던 것 같다.

<맡겨진 소녀>를 다 읽고 멍하니 앉아서 한 생각이 ‘이건 비극인가, 희극인가? 그런데 희비극은 아닌 것 같고...‘ 였는데, 그런 생각을 한 이유는 아마도 이 작품이 지나치게 현대적이지도, 너무 고전적이지도 않은 감동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딘가 많이 애매했는데, 약간 가벼운 듯했지만, 한편으로는 클래식하다는 느낌도 있었다.

클레어 키건의 <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읽고 나서는 <맡겨진 소녀>를 읽고 내가 이런 생각을 떠올리게 될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이처럼...>은 비교적 그 성격이 분명해 보였다. 고귀한 사람이 고난에 처하는 이야기였다. 주인공은 귀족도 비범한 능력을 지닌 사람도 아니었지만, 도덕적으로 뛰어난 품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그의 품성은 그를 낳고 키운 사람들로부터 물려받았다. 주인공을 양육한 인물들이 잡스럽고 천박했다면 결코 그는 고귀한 품성을 지닌 사람으로 자라나지 못했을 것이다. 그는 물려받은 품성에 더해 스스로 단련해온 도덕성으로 하나의 영웅적 행위를 한다. 자신들처럼 작고 힘없는 사람들이 감히 맞서지 못하는 거대한 악의 세력에 맞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행을 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이처럼...>은 품성이 고귀한 단 한 사람(영웅)이 탄생하게 되는 이야기였다. 스스로를 고난에 빠뜨릴 선의를 기꺼이 선택함으로써 소시민은 작은 영웅이 되었다. 감동적인 이야기였다. 주인공의 선택으로 죽음에서 벗어난 사람에게는 해피엔딩일지 몰라도 이야기 전체를 희극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희극적 요소가 있다고조차 할 수 없는 이야기였다.
만약 <이처럼 사소한 것들>이 <맡겨진 소녀>에 비해 좀 더 묵직한 이야기처럼 느껴진다면 그래서일 것이다.

<맡겨진 소녀>는 그와는 조금 다른 이야기였다. 주인공 소녀는 잡스럽고 천박한 품성의 아버지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서 잠시 고귀한 품성을 지닌 사람들에게 맡겨진다.

소녀는 자신의 비천한 품성(언어 습관과 생활 습관)을 가지고 그곳에 도착하지만, 고귀한 사람들은 소녀를 비범한 방식으로 양육하여 품성을 교정해 준다.
그 과정에서 동네의 잡스런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 사람들은 셰익스피어 극에 등장하는 광대나 이간질쟁이들처럼 군다. 말하자면 거대한 악은 아니고 매우 잡스런 악들이다. 그러나 이들이 정통 비극에서처럼 소녀를 위기로 몰아넣지는 않는다. 이간질로 소녀가 해를 입는다면 그건 임시 양육자들이 소녀를 외면하게 되는 일뿐일 텐데, 키건은 그런 스토리를 만들지 않았다.

키건이 스토리에서 의도하는 것은 중심인물의 갈등이 아니다. 고귀한 품성의 사람들과 잡스런 사람들을 비교해 보여주는 것이다. 쓸데없이 말이 많고 타인에 대해 애정 없는 관심만 난무하는 우리 주변의 잡스런 인물들이 얼마나 한심한가 하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수다스런 이웃 아주머니나 소녀의 아버지가 등장할 때는 헛웃음을 웃게 되었다. 아무말이나 해대는 그 사람들은 <이처럼...>에 등장하는 그저 겁많고 하루하루 평탄하게 살기를 바라는, 자기 가족이 최우선인 소시민들과는 결이 조금 달랐다. <맡겨진 소녀>의 잡스런 인물들은 짜증과 비웃음을 유발했다.

그에 비해 할 말, 해야 할 말 이외에는 하지 않는 묵직하고 고귀한 인물들(소녀의 임시 양육자들, 소녀)은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이란 게 무엇인지 몸소 보여주었다.

책의 마지막까지 읽고 나자 약간 애틋한 마음이 들면서 희망이 싹을 틔우는 느낌이었다. 어딘가에는 우리가 보지 못한 고귀한 품성의 사람들이 운명의 장난질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고귀한 품성을 더럽히지 않고 살고 있을지 모른다.

덧붙여 개인적으로는 이 작가의 심지가 너무 부러웠다.
키건의 두 스토리 모두 이야기를 시작하고 끝내는 지점이 감탄스러웠다. 자극적인, 소위 멱살잡이를 하는 스토리를 만드려는 의지와는 완전히 등지고 있다. 뚝심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선택이다.

그리고 그 선택은 옳았다.

아래는 키건이 얼마나 최소한의 언어로 원하는 효과를 냈는지를 보여주는 두 부분이다. 뒤까지 읽고 나서야 앞 장으로 도로 가서 내가 잘못 읽었나, 정말 명확한 묘사가 없었던가 확인하게 되었다.

이보다 더 주옥 같은 문장이 있었는데, 스포일러 요소가 있어서 올리지 못하겠다.

나는 이 새로운 곳에서 뜨거우면서도 차가운, 겪어본 적있는 기분을 느끼며 잠에서 깬다. 킨셀라 아주머니는 나중에 침대 시트를 벗길 때에야 알아차린다.
"세상에." 아주머니가 말한다.
"네?"
"이거 좀 볼래?" 아주머니가 말한다.
"네?"
지금 당장 말하고 싶다. 솔직히 말하고 집으로 돌려보내 - P35

지는 것으로 끝내고 싶다.
"매트리스가 낡아서 말이야." 아주머니가 말한다. "이렇게 습기가 차지 뭐니. 항상 이런다니까. 널 여기다가 재우다니, 도대체 내가 무슨 생각이었을까?"
우리는 매트리스를 끌고 계단을 내려가서 햇볕이 내리쬐는 마당으로 나간다. 개가 다가와서 킁킁 냄새를 맡더니 뒷다리를 들려고 한다.
"저리 가!" 아주머니가 얼음장 같은 목소리로 외친다.
"이게 다 무슨 일이야?" 킨셀라 아저씨가 밭에서 돌아온다.
"매트리스 때문에." 아주머니가 말한다. "빌어먹을 매트리스에 습기가 차서. 지방이 원체 습하다고 내가 말 안 했4?"
"그랬지." 아저씨가 말한다. "그래도 어쩌자고 이걸 혼자서 끌고 내려와."
"혼자 아니었어." 아주머니가 말한다. "도와주는 사람이 있잖아."
우리는 매트리스를 세제와 뜨거운 물로 문질러 씻은 다음 그대로 두고 햇볕에 말린다. - P36

집에 가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차라리 빨리 가고 싶다. 얼른 끝내고 싶다. 나는 평소보다 일찍 일어나서 축축한 밭과 물이 뚝뚝 떨어지는 나무들, 언덕들을 내다본다. 처음 왔을 때보다 더 푸르러진 것 같다. 생각해 보니 침대에 오줌을 싸고 뭔가 깨뜨릴까 봐 걱정했던 그때가 너무나 멀게 느껴진다.  - P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