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 한해 많은 독자들의 눈길을 끈 작품이 있었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이정명 작가의 뿌리 깊은 나무였다. 전작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만큼 작가 스스로 가지고 있던 심리적인 부담도 어느 정도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반면에 독자들은 작가의 그런 어려움을 간파하지 못하고 신작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궁금증을 가지게 된다. 한국 소설을 읽어본 게 얼마만이던가? 그간의 부재를 조금이나마 무마하고자 최근 역사소설에 관심을 가지려 노력하고 있다.




솔직히 작가의 이전작인 뿌리 깊은 나무를 읽어보진 못했다. 그저 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었고 관심을 모았던 작품과 작가라는 사실만으로도 이 책을 읽고 싶다는 동기부여를 하기에는 충분했으니까. 똑같이 주어지는 일상을 살아가다보면 진작 나의 구미를 끄는 분야는 저마다에게 있을 것이다. 나 또한 미술이 그러하다. 특별한 재능이 있어서가 아니라 노후에까지 충분히 즐기며 사색할 수 있는 취미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개인의 감성과 자유의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이보다 좋은 경로는 없다는 생각을 종종 해본다.




그렇다면 조선시대를 풍미했던 대표적인 이들은 누가 있을까? 이에 대한 깊은 지식은 없을지라도 신윤복과 김홍도라는 이름을 듣고 나면 아! 하고 손뼉을 치게 될지 모른다. 한번쯤은 누구나 들어봤을 이름과 그들의 대표작들은 모두에게 인지될 만큼 유명하기 때문이다. 이 두 사람의 작품에 대한 표현방식은 사뭇 다르다. 조금 더 현실감 있고 풍자적인 기법을 선보이는 성향이 강한 김홍도와 미인도에서처럼 가녀린 여성의 미와 섬세함을 보여주는 신육복. 이 두 인물에 대한 생애에 초점을 맞추어 작가는 그리고 있다.




우리가 그 시대를 직접 살아보지는 못했기에 작가는 이 글을 탄생시키기까지 많은 난관에 봉착 했었을 지도 모르겠다. 분명 어느 정도의 한계선을 그어놓고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적절한 궤적을 놓아두고 자기만의 허구라는 양념을 곁들여 그려야했으리라. 이런 일련의 이해와 배려를 해본 후 읽는다면 색다른 즐거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 최고라 칭송받던 이들에게 어떠한 일들이 펼쳐졌으며 역사적인 행로 안에서 뒤늦게 주목받게 된 과정을 여실히 그 만의 재치 있고 생생한 필치로 그려내고 있다.




천부적인 재능을 겸비한 이들의 삶은 사실 녹록지 않은 경우가 다반사다. 그들의 죽음이라는 테마를 필두로 하여 작가는 갖은 이야기를 연계하여 설정하고 스토리를 이끌어나간다. 테마 자체가 약간의 추리적인 성향을 띄고 있고 한국형 픽션이라는 데에 착안하였기에 독자들은 흥미진진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림을 소재로 하여 두 인물의 행적을 쫓아가는 시도, 그리고 조선시대 미술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계기도 될 수 있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역사라는 것은 이야기의 소재가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과 허구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탄력 있는 소설로 재탄생시킨 작가의 능력에 박수를 보낸다. 전반적인 이야기의 구성이 조금 복잡하고 과거를 살았던 두 인물을 필두로 하였기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간혹 있을 수 있겠으나 이는 이 책의 재미를 느끼는데 아주 사소한 부분에 불과한 것일 뿐이니 좀 더 너그러운 마음으로 즐겼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큰 기대는 사소한 실망을 부르고 적당한 즐거움과 작가의 노력에 초점을 맞춰 있는 그대로 그 시대의 인물과 삶을 바라볼 수 있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