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책읽기 - 지식을 경영하는
스티브 레빈 지음, 송승하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한 때 모 프로그램에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책을 얼마나 가까이하고 있는지를 조명한 적이 있었다. 그 당시에 취재에 응한 대부분이 젊은이들은 한 달에 책 한권조차 읽은 적이 없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 놀라운 것은 선진국의 도서관을 우리와 비교해 보여주는데 무슨 할 말이 필요했으랴. 문자화된 책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가 하락하면서 그저 즉흥적으로 보고 듣는 시스템에 익숙해진 사회적인 풍토도 문제이리라. 물론 이것은 우리나라 모든 사람들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아주 극소수의 일변도라 믿고 싶다.


내 주변에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참 많다. 저마다의 이유로 책을 읽고 즐기겠지만 나에게 책을 읽는 순간은 정신을 집중하고 나를 재발견해갈 수 있는 시간이다. 갖가지 무수한 정보와 지식을 단 몇 시간만으로 마치 타입캡슐을 타고 여행하는 듯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 일인가. 보통 책을 선택하는 기준은 저마다 좋아하는 분야에 따라 달라진다. 나는 에세이를 즐겨 읽고 좋아하는데 이에 대한 편견을 깨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좋은 책을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고 어떤 방법으로 내 것으로 터득할 수 있는 것일까. 오로지 책에 대한 흥미 위주로 책을 접하던 때는 아무 생각 없이 제목이나 겉표지의 문구를 토대로 책을 고르고 읽고는 했지만 읽고 난 후 만족한 적은 일부에 불과하다. 책을 많이 읽다보면 좋은 책을 선택할 수 있는 시야도 넓어지고 판단도 설까마는, 보다 전략적으로 책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어떻게 책을 효과적으로 읽을 수 있는지 이에 대한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의 경우엔 책을 읽는 중간마다 중요한 글귀를 체크한다. 메모지에 기억에 남는 구절에 해당하는 페이지수를 적어놓고 훗날 그 책에 대한 기억이 사라질 즈음, 그 책 첫 페이지에 붙여둔 포스트잇을 다시 확인하고 찾아 읽다보면 대략의 줄거리가 떠오른다. 그리고 그 책에 대한 나의 견해와 느낌을 글로 표현해두면 좀 더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게 되니 이 또한 좋은 습관이 아닐까.


책을 읽기 전 그리고 책을 읽은 후의 우리가 행할 수 있는 갖가지 방법을 제시해준다. 독서 리스트 작성, 효과적인 독서법 그리고 독서 모임을 행할 시 도움이 될 만한 점들을 포인트로 하여 설명해준다. 내가 해보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직접 실행하여 이전 보다 나은 독서습관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저자가 말한 모든 이야기가 전적으로 옳다는 것은 아니니, 각자의 주관과 생활 방식에 맞게 효과적인 책읽기를 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