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기 조선풍속사 - 조선.조선인이 살아가는 진풍경
이성주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생각이 지루하고 따분하다는 것이다. 그런 단순한 오해와 편견은 이 책으로 인해 사라지게 되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지금 우리가 이 생을 살아갈 수 있는 것도 과거 선조들이 그들의 몫을 다했기 때문이고 후세들이 살아갈 삶 또한 우리의 몫이 아닌가. 그렇기에 역사 그 자체에 대한 중요성은 더 이상의 말이 필요 없다. 그 만큼 중요하고 또 바로 알아야 하는 이유가 거기 있는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맞는 정세과 변화는 어쩌면 자연스러운 순리인지도 모른다. 다만 내가 직접 겪지 않은 일이기에 다분히 멀게 느껴지는 것이고 어렵게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과거 우리 조상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그들은 어떤 법과 규칙을 가지고 살아갔으며 무엇을 생의 관점으로 놓고 살았을까. 이런 기본적인 호기심과 궁금증은 누구나 한번쯤은 해봤을 것이다.


작가는 이런 우리의 궁금증을 가볍고 재미있는 터치로 이야기하고 있다.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의 이야기를 작가만의 상상력으로 좀 더 쉽게 그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다소 우스꽝스러운 조선 시대 왕의 이야기나 초현실적인 화장실 뒤처리 방법 그 외에도 독자들은 역사이야기가 이토록 재미있고 흥미로울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가만히 살펴보면 우리의 삶과 조선시대 선조들의 삶은 별반 다를 게 없는 듯하다. 엄격한 유교방식의 삶 안에는 이혼이라는 제도 자체가 허용되지 않을 것 같지만 이 또한 계급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양반들에게는 이혼은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었지만 평민들에게는 지금과 같은 합의 이혼제도가 있었다고 하니 놀랍지 않은가. 구수한 누룽지처럼 들리는 작가의 문체는 우리가 잊고 지냈던 고향집을 방문하는 것과 같은 정겨움을 선사하고 그 시대의 삶과 풍경을 눈으로 보는 듯한 느낌을 전해준다.


단순히 역사적인 사실에만 충실하게 써나갔다면 지루하고 어렵게 느껴졌을 수도 있을 이야기들을 그 시대의 인물과 상황을 절절히 매치시켜 이야기하는 저자의 표현력에 점수를 주고 싶다. 독자들에게 재미와 지식을 동시에 전해줄 수 있는 이가 몇이나 되겠는가. 그 만큼 내게는 만족감을 준 책이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어주는 산 증인이다. 눈으로 직접 보고 들을 수 없다 해도 이렇게 글로써 이해하고 선조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는 것 그 자체가 참 감사한 일이다. 그럴수록 현재 우리의 삶을 제대로 바로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후세에 우리 젊은 세대들이 먼 훗날 현재 우리가 살아간 삶을 되짚어볼 날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 우리 선조들의 역사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좀 더 재미있고 유쾌하게 바라보고 싶다면 이 책을 접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