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 왕을 만든 사람들 그들을 읽는 열한 가지 코드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잘못된 역사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지난 과거의 흔적을 좇아 교훈을 얻거나 지혜를 탐구한다. '역사는 현대를 비추는 거울'이라고 한 것처럼 한 시대를 살다간 사람들, 특히 새로운 역사의 물꼬를 트거나 방향을 바꾼 사람들의 이야기는 입에서 입으로, 기록에서 기록으로 전해오면서 현대인의 귀감이 되기도 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사람들 또한 김육, 강홍립, 박자청을 제외하면 우리에게 친숙하거나 한번쯤은 들어봄직한 인물들이다. 특히 더욱 눈에 띄는 것은 왕을 만들거나, 왕을 도와 훌륭한 정책으로 나라를 지킨 참모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그동안 왕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한국사를 다시 새로운 눈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통치사가 아닌 참모사로 보는 역사가 특별한 이유는 세상은 절대권력의 힘으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점은 역사를 바꾼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주류였다는 사실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김유신과 김춘추, 정도전도 당시에는 비주류였다. 김유신은 김춘추를 왕위에 옹립하기 위해 무력으로 활약했고, 삼국통일을 위한 어젠다를 마련했다.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세운 정도전은 유배지에서 얻은 혁명 사상을 바탕으로 고려 후기의 난세를 타파하고, 새 나라를 세웠다. 주류 세력임에도 넓은 시야를 가진 소서노는 자신의 안목을 믿고 주몽을 선택해 고구려를 만들고, 후에 아들의 내부 지분 싸움에 휩쓸리지 않고 온조를 도와 백제를 세울 수 있었다.

 

하지만 역사에 빛이 있다면, 당연히 그림자도 있는 법. 인수대비의 경우 권력에 눈먼 아버지 한확의 계략에 따라 정권 싸움에 희생된 대표적인 인물이며, 홍국영은 정조가 왕위에 오르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웠음에도 왕의 후사에 따른 차기 권력에 욕심을 내고 역린을 건드린 나머지 모든 공을 수포로 돌린 인물이다. 이처럼 끝없는 욕심이 부른 화가 가져다 준 결말은 비극임을 역사는 고스란히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들의 삶에서 우리는 하나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각자 그들만의 역할과 비전, 방향성을 뚜렷하게 제시하고, 왕 또는 사회를 움직이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다. 그 노력이 지나쳐 맹목적인 권력욕으로 변질된 사람들도 있지만, 대다수의 인물들은 하나의 목표를 향해 정진했다. 그리고 그들이 처한 현실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힘을 적극적으로 찾았다.

 

이미 지난 역사 이야기이지만, 현실에서 고군분투하며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찾아나선 사람들과 현대인의 차이는 그다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최고 권력자의 자리에 오를 수 없다면, 그를 보좌하거나 변화시켜 '나' 이상을 추구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으로, 어떻게 권력의 피라미드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 책에서 어떤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한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고 싶거나, 역사 속 왕과 권력에 관심 있었던 독자에게도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