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 욕이 아무렇지 않다고? 십대톡톡 3
권희린 지음, 안희경 그림 / 천개의바람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어린이들의 언어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말하는 것만 들으면 이것이 초등학생인지, 성인인지 구분이 가지 않을 정도로 욕설과 비속어들이 난무하는 요즘 학생들의 말습관. 학생들과 함께 하루 동안 욕설과 비속어, 줄임말을 사용하지 않는 날을 정해 실천해본 적이 있다. 참여한 학생들 모두 그 날 하루동안 거의 묵언수행에 가까울 정도로 말수가 줄었다. 어쩌다 신나게 말을 이어가도 무의식적으로 욕설을 사용하곤 깜짝 놀라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학생들은 왜 이렇게 무분별하게 말을 하곤 할까?

또래와 말습관을 맞추기 위해서, 남들보다 잘나보이기 위해서, 그냥 나오는 데로 말하니까 등 학생들이 말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하지만 이렇게 말을 하면서 정확히 단어의 의미를 알고 사용하는 학생들은 얼마나 될까? 책에서는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뱉는 말들의 정확한 의미를 알려주고 왜 이 단얼르 사용하면 안되는지를 설명해준다.

 

책의 본문 중 이런 구절이 있다. ‘욕을 들으면 부정성 효과로 머리에 각인이 된다. 그러다 보면 긍정성 단어들을 우리 메모리 순번에서 밀려 사라지게 돼고, 뇌에서 가지치기가 일어난다.’

긍정적인 요소보다 부정적인 요소들이 더 쉽게 기억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단어를 사용할 때 부정적 요소들만 기억하게 된다면 사람들, 특히 학생들의 언어체계는 점점 짧아지게 될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의 말을 인용한 구절도 인상 깊다. ‘내 언어의 한계가 곧 내 세계의 한계다.’

학생들이 스스로 깨우치는 바가 없이 나쁜 말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그저 귀를 스쳐지나가는 말이 될 뿐이다. 책을 통해 스스로의 언어습관을 정돈할 수 있는 아이들이 성장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종이에서 스크린, 오디오까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운 읽기 전략
나오미 배런 지음, 전병근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시대를 거치며 격변한 읽기>

얼마 전 학부 교수님을 찾아 이야기를 나누다 미디어리터러시에 관한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미디어, 디지털이라는 용어와 틀에 휘둘리지 않고, 리터러시, 문해력 자체에 집중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나눴다. 올바른 읽기 전략과 능력이 수반되어야만 정보를 정확히 처리할 수 있다는 점.


- 2020년부터 코로나시대를 맞이하며 학교,사회 모두에서 비대면, 디지털로의 전환이 이뤄졌다. 교과서, 문제집, 일반 책 할 것 없이 전자책, 오디오북 등의 매체로의 접근이 종이책에 접근하는 것보다 수월해졌다. 시대의 변화가 급하긴 해도 필요한 시점이었다고 느껴지긴 했으나 이제와 생각하면 변화에 맞선 우리는 변화에 잘 대응했었나?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책의 저자 나오미 배런 교수는 읽기 연구의 전문가이자 언어학 분야의 선두주자이다. 또한 책을 펼치자마자 만났던 매리언 울프의 추천사가 인상적이었다. 두 교수 모두 학부 시절 빈번하게 전공책에서 만나던 이름이었으니 외려 반가운 마음도 들었다.


- 책의 제목부터 등장하는 '읽기'. 

이 책에서 말하는 '읽기'는 단순 여가를 위한 읽기가 아닌 학습을 위한 '읽기' 이다. 책은 여러가지 실험결과와 설문조사를 소개하며 근본적인 종이책 읽기에서 이어지는 디지털 읽기의 장단점, 비교, 디지털 읽기를 위한 학습 전략을 소개한다.


- 책장을 넘길 때마다 혼자 가지고 있던 질문을 마주할 수 있었다.

'어린이에게 종이책과 전자책, 어느 쪽이 더 좋을까?' '종이책이 전자책보다 공부가 잘된다는 믿음이 진실일까?' 질문을 해결할 수 있게끔 다양한 연구와 그 결과, 설문조사, 인터뷰들이 등장하며 답을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간단하게 소개해주는 점이 특히 좋았다. 궁금했던 논문들을 모아 결과값만 볼 수 있도록 모아주었다는 느낌이다.


<미래교육을 위해 우리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 심심한 사과, 금일, 사흘, 나흘 등등.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뉴스 사회면에 등장하는 사례들이 빈번하다. 최근에는 또 노래가사 속 '사흘'이라는 단어로 Z세대의 문해력이 낮아지고 있다는 제목들의 뉴스가 불거졌다. 잊을만 할 때마다 문해력논란이 번지는 것은 소셜미디어에 익숙해진 아이들의 얕고 빠르게 읽는 습관들이 모여 이런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생각한다. 


- 교육의 목표를 비판적 사고를 기르기 위함이라 제시한다. 비판적 사고를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올바른 읽기에 대한 습관이 먼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 학교, 사회 모두가 읽기 전략을 바로 세우고 방향을 잡아야 할 때다. 도서는 이를 위한 방향성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더 많이 읽어라Read more.
읽을 때는 집중해서Focus when you do.
무엇으로 읽을지도 중요하다Medium matters. - P4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지구를 살리는 기후위기 수업
이영경 지음 / 한언출판사 / 2022년 1월
17,000원 → 15,300원(10%할인) / 마일리지 8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2년 03월 14일에 저장

이카보그
J.K. 롤링 지음, 박아람 옮김 / 문학수첩 리틀북 / 2020년 12월
25,000원 → 22,500원(10%할인) / 마일리지 1,2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2년 03월 14일에 저장

이런 수학은 처음이야- 읽다 보면 저절로 개념이 잡히는 놀라운 이야기
최영기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1월
17,000원 → 15,300원(10%할인) / 마일리지 8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2년 03월 14일에 저장

분수와 소수
로지 디킨스 지음, 베네데타 죠프레, 엔리카 루시나 그림 / 어스본코리아 / 2016년 7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2년 03월 14일에 저장



3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6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낭만 강아지 봉봉 1- 똥개 아니고 번개
홍민정 지음, 김무연 그림 / 다산어린이 / 2022년 2월
13,000원 → 11,700원(10%할인) / 마일리지 6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2년 03월 15일에 저장

수박수박수
이상교 지음, 노석미 그림 / 토토북 / 2021년 7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2년 03월 15일에 저장

야구장 가는 날
김영진 지음 / 길벗어린이 / 2020년 3월
14,000원 → 12,600원(10%할인) / 마일리지 7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2년 03월 15일에 저장

공룡 친구 꼬미
김혜정 지음, 최미란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9월
11,000원 → 9,900원(10%할인) / 마일리지 5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8월 19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22년 03월 15일에 저장



6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시합격! 자소서가 답이다 인문계열 - 2017 대입 수시 전형의 완결판 수시합격! 자소서가 답이다 (2017 대입)
학지입시연구회 엮음 / 씨마스 / 201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자소서를 쓰는데 좋은 길잡이가 되어줬습니다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