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사람의 집 - 조선 최고 지식인.권력자 11인의 집과 사람 이야기 사람을 향한 인문학
박광희 지음 / 가치창조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 사람의 집

 - 조선 최고의 지식인, 권력자 11인의 집과 사람 이야기

박광희 지음

 

한때 건축가의 꿈을 꾸었다. 아름다움을 위한 집보다는 그 집에 사는 사람들은 위해 편리한 집을 짓고 싶었다. 당시에만 해도 집이라는 곳은 사람이 살기위해 편안함을 주어야 하고, 동선등의 불편함이 없는 집이라고 생각했다. 미적 감각을 살리기 보다는 구조적으로 스케치를 하곤 했었다.

 

<옛 사람의 집>을 읽으면서 내가 가지고 있던 집에 대한 생각이 조금씩 달라짐을 느꼈다. 최근 티비에서 방영된 한 프로그램에 자신이 살 집을 직접 짓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었다. 그 사람은 한번쯤은 내가 살 집을 짓는 것이 좋다며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했다. 멋지고 화려한 집이 아니라 내가 살고 싶은 집을 말이다. 이 책에 소개된 집들이 바로 그 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을 그대로 반영한 집인 것 같다.

 

<옛 사람의 집>에는 11명의 옛 사람이 있다.

덕혜옹주, 흥선대원군, 김정희, 정약용, 기대승, 이내번, 양산보, 조식, 윤증, 맹사성, 정여창.

그들은 모두 그들의 삶이 반영된 집에서 살았고, 그 집이 어떤 곳인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는지 말해준다.

11곳의 집 중에 직접 가 본 곳은 고작 창덕궁의 낙선재와 흥선대원군의 운현궁이지만 가 보지 않은 집 이야기라고 해서 읽기 힘든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충분히 그 집 안에 들어가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집은 창덕궁 낙선재이다.

자신의 삶을 자신의 의지로 살지 못하고, 주변의 힘에 휩쓸려 아무런 소리조차 내지 못했던 조선의 마지막 옹주라 불리는 덕혜옹주. 이상하게도 덕혜옹주의 이야기는 항상 나의 관심을 끈다. 이 책에서도 가장 먼저 소개되는 낙선재가 덕혜옹주가 살았던 집이라서 가장 기억에 남는 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낙선재는 덕혜옹주만을 위한 곳은 아니었고, 헌종 때 지어진 곳으로 본채와 석복헌, 수강재로 고성되어 있다. 헌종이후 여러 사람이 낙선재에서 삶을 보냈다. 대부분 구중궁궐 속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여인이었다.

 

첫 번째 집 낙선재 이야기를 마무리하며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주인은 간데없고, 어느 궁궐 숲에선가 속절없이 뻐꾸기가 그녀들의 원혼 서린 울음을 토해 내고 있다.”

 

조식은 이황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양대 산맥이라 불린다. 그는 주역에서 따온 산천재라는 집에서 말년을 보냈는데, 산천재란 집에서 놀고 먹지 않고 어진 이를 기름에 군자가 이제까지 배운 지식과 인격을 실제로 행하며 그 덕을 쌓는다는 것이다. 조식은 산천재의 뜻 그대로를 실천하며 살았다. 후진을 양성하는데 힘을 쓰는 한 편, ‘단성소에서는 국정의 폐단을 따지면서 이를 개혁할 대안까지 제시한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바에 대해서는 직언 직설을 쏟아내었다. 이런 직언으로 명종과 문정왕후는 물론 조정 중신들과 조선 지식인 사회를 경악케 만들었다. 산천재가 바로 그의 성품을 그대로 닮은 집이 아닌가 싶다.

 

이 외에도 9명의, 9집이 책에 소개되어있다. 하나씩 담겨진 이야기를 읽으면서, 한 곳 씩 찾아가 보는 것도 좋은 여행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