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대장 존 비룡소의 그림동화 6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커버를 넘겨보면서 나는 놀랬다. 누가 책의 첫장에 낙서를 해놓은 것이 아닌가? 자세히 보니 그것이 아니라 원래 나올때부터 그런 형식으로 나와있었다. 첫장에 쓰여있는 말은 다시는 악어에게 가방을 빼꼇다는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는 말이 계속해서 쓰여져 있었다. 이게 무슨 소린가하고 다음장을 넘겨보니 주인공 존이 학교를 가던 도중에 악어를 만났다. 그리고 그 악어에게 가방을 빼앗긴 것이다. 존은 그런 이유로 학교에 지각을 했다. 지각을 한 존에게 선생님은 왜 지각을 했냐고 물어보고 존은 오는 길에 악어를 만나 가방을 빼앗겨서 늦었어요라고 정직하게 말했다. 하지만 선생님의 반응은 존을 거짓말쟁이로 취급하는 거였다. 지각을 모면하기 위해 믿지못할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여긴 것이었다. 그래서 존은 그러한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는 반성문을 쓰고 집으로 돌아간다. 다음날 존은 오는 길에 사자를 만나 또 지각을 하게 된다. 학교에 가서 존은 다시 한번 선생님에게 지각의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하지만 어제와 같이 선생님은 존의 말을 믿지 않는다. 그래서 존은 또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는 반성문을 쓰고 집으로 돌아간다. 그 이후 존은 아무것도 만나지 않고 학교에 제 시간에 도착을 했다. 그 때 선생님은 고릴라에게 잡혀가고 있었다. 선생님은 내려달라고 존에게 말하지만 존은 고릴라 같은 것은 없다고 하면서 선생님을 내려주지 않는다. 

 이 책을 보면서 내가 느낀 것은 어른들은 경직된 사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어린이들은 순수한 마음으로 어떠한 사실을 어른에게 전달해도, 어른들은 자기만의 사고로 그것의 진실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그러한 관점이 나타나있다. 존이 진실을 말한것은 독자들과 존이 알고 있다. 하지만 선생님은 결코 그 진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존에게 반성문을 쓰게 한다. 마지막 통쾌한 반전이 있었길 다행이지 그게 아니었다면 억울한 그림동화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이 그림동화를 보면 왠지 <양치기 소년>이라는 고전동화가 떠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